
중국 서남부에 위치한 구이저우(贵州)는 험준한 지형 때문에 한때 황무지로 여겨졌으나 600여 년 전 명나라에 의해 13번 째 성(省)이 됐다.
최근 몇 년 간의 고고학적 발견을 토대로 살펴보면 구이저우는 먼 옛날 인류의 발상지 중 하나였다. 이 지역에 인류가 남긴 발자취는 무려 3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과학원 학자 페이원중(裴文中)은 "구이저우의 구석기 고고학은 세계적으로도 상위권에 속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지난 10년 동안 구이저우는 중국 고고학 부문 그랜드슬램을 달성했으며 세계 10대 고고학 신(新)발견을 비롯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됐다. 구이저우 문물고고학연구소의 저우비쑤(周必素) 소장은 "구이저우의 역사적 맥락이 강화되면서 구이저우는 역사가 배출한 왕훙(網紅, 인플루언서)로 자리매김했다"고 말했다.
구이저우 문물고고학연구소의 부소장이자 초과동(招果洞) 유적의 고고학 책임자인 장싱룽(張興龍)은 초과동 유적을 플래시백(Flashback) 기법으로 서술한 역사책에 비유하며 "20층 높이의 이 거대한 책은 두께가 약 8m에 이른다"고 말했다. 이어 "초과동은 후기 구석기부터 신석기 시대에 이르는 인류의 역사가 담겨있다"며 "인류는 돌을 두드려 도구를 만들었고, 뼈를 갈아 송곳을 만들었다. 모닥불을 피워 짐승들을 쫓아냈다. 이 모든 것이 초과동이라는 타임캡슐에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고고학 전문가 루훙량(吕红亮)은 "구이저우 카르스트 지형의 선사시대 동굴 유적은 국제 문화 교류에 있어 노다지와 다름없다"며 "프랑스 남서부 도르도뉴에 있는 선사시대 동굴 유적과 비교할 수 있을 만큼 세계적으로 뛰어나다"고 말했다.

구이저우 문물고고학연구소 저우비쑤 소장은 중국 관영 중앙TV(CCTV)의 한 프로그램에 출연해 정교하고 아름다운 유물인 금양보삼룡오봉관(金镶宝三龙五凤冠)을 소개한 바 있다. 구이저우 쭌이시 토사(土司, 중국 고대 소수민족 자치 지역의 관리) 양씨가 아내를 위해 특별히 제작한 이 장신구는 정교한 제작 기술로 시청자들을 놀라게 했다.

구이저우의 고고학 유적지와 유물들, 고유한 자연과 인문 환경은 최근 중국내 관광객들의 발길을 이끄는 요인이 되고 있다.
구이저우의 '중국 전통 차 제조 기술 및 관련 풍습'은 지난해 11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됐다. 특히 구이저우에서 발견된 165만년 전 다자화석(茶籽化石)은 지구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차 관련 화석으로 꼽힌다.
구이저우는 지역 특산품인 차를 세계 시장에 공급하며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구이저우의 차 수출량은 5937t으로 수출량과 수출액 증가폭이 중국 내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구이저우는 중국에서 가장 먼저 매운 음식을 먹은 곳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중국 고서 '사주부지(思州府志)'에는 '구이저우의 먀오족이 현지의 소금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고추로 맛을 냈다'고 기록돼 있다. 구이저우 고추 특유의 풍미를 지닌 소스인 '라오간마(老干妈)'는 한국은 물론 미국, 호주, 뉴질랜드, 일본,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지에서 판매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