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시장을 향한 중국 소비재 유통 플랫폼들의 공습이 가열차다. 중국의 소비재 유통 플랫폼들이 우수한 가성비를 내세운 제품들로 한국 소비시장을 한 평 한 평 점령해가고 있다.
가성비도 낮지만, 한중 간 지리적으로 가까운 덕에 유통 기간도 중국 유통 플랫폼들이 점령한 미국이나, 유럽 등 어떤 시장보다 짧다.
17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한국으로 배송된 전자상거래 물품 건수는 8881만 5000건으로 전년(5215만 4000건) 대비 70.3%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통관된 전자상거래 물품이 1억 3144만 3000건으로 전년 대비 36.7%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전체 해외직구가 늘어나는 규모보다 중국발 직구 규모가 더 크게 증가한 것이다.
중국발 직구(직접구매) 규모는 2020년 2748만 3000건, 2021년 4395만 4000건, 2022년 5215만 4000건, 2023년 8881만 5000건으로 매년 꾸준히 늘었다.
전체 해외직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43%, 2021년 50%, 2022년 54%, 2023년 68%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금액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중국발 직구 금액은 23억 5900만 달러로 전년(14억 8800만 달러) 대비 58.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해외직구가 47억 2500만달러에서 52억 7천 800만달러로 11.7% 증가한 것보다 5배가량 크게 늘었다.
테무,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 온라인 플랫폼이 국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중국발 직구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발 직구 규모가 대폭 증가하면서 이와 관련한 소비자 민원 건수도 급증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알리익스프레스 관련으로 접수된 소비자 민원 건수는 673건으로 2022년(228건) 대비 세 배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