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오는 2025년부터 행성 탐사 본격화

  • 등록 2024.06.27 11:19:33
크게보기

중국 우주 식민지 개척에 적극 나서는 모습

 

‘6월 25일 14시 7분’

중국 ‘우주 굴기’의 가장 화려한 한 페이지를 장식한 순간이다. 바로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6호’가 달 뒷면의 토양을 채취한 뒤 지구로, 내몽골 시즈왕기(Siziwang Banner)로 돌아 온 날이다. 세계 첫 달 왕복 탐사 성공의 순간이었다.

중국의 우주 기술이 이제 달의 뒷면을 자유자재로 가는 것을 넘어서, 왕복이 가능한 수준에 달했음을 보여준 것이다.

달은 4차 산업 인류의 새로운 식민지로 지목되는 곳이다. 과거 3차 산업혁명을 앞둔 유럽이 아시아와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지의 식민지를 만들어 자원을 확보하면서 오늘의 부를 쌓았듯 달은 4차 산업 혁명이후 글로벌 산업 지형을 바꿀 새로운 자원의 보고로 지목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달 탐사에 세계가 주목하는 이유다.

중국의 우주 굴기가 이어지고 있다. 오는 25년부터는 본격적인 행성 탐사에도 나설 계획이다. 우주 식민지 개척에는 서구에 뒤처지지 않고 앞서겠다는 중국 당국의 의지가 엿보인다.

중국 국무원은 최근 기자회견을 열고 “달 탐사 프로젝트가 고품질, 고효율 달 탐사의 길에 들어섰다”고 공식 선언했다.

당국 발표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5월 3일 장정 5호 운반 로켓이 창어 6호 탐사선을 예정된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이후 창어 6호는 지구-달 이동, 근월 제동을 거쳐 4개의 기구를 쌍으로 분리, 달 표면 순조롭게 착륙했다. 이어 총 53일간의 일정으로 표면 샘플링, 달 표면에서 이륙 등 11단계의 업무를 순조롭게 진행했다.

중국 당국은 “지금까지 중국 우주 역사상 가장 기술적으로 진보된 달 탐사 임무이며 '3대 기술 혁신'과 '세계 최초'를 달성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 이번 창어 6호의 왕복 탐사 성공으로 중국은 달의 역행 궤도 설계 및 제어 기술, 달 측면 지능형 샘플링 기술, 달 측면 이륙 및 상승 기술 분야에서 큰 성과를 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앞서 중국은 창어 5호를 통해 달 앞면에서 샘플을 채취한 뒤 귀환하는 데 성공했다.

중국 당국자는 “올해 달 탐사 프로젝트가 시작된 지 20주년이 되는 해”라며 창어 6호의 성공이 중국 달 탐사 프로젝트의 성공임을 강조했다.

이번 창어 6호에는 ESA 달 표면 음이온 분석기, 프랑스 라돈 탐지기, 이탈리아 레이저 코너 반사경, 파키스탄 CubeSat 등 4개의 국제 페이로드가 탑재됐었다.

이 중 파키스탄의 큐브위성은 지난 5월 8일 분리에 성공했고, 달 이미지를 포착해 지상으로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또 6월 2일에는 프랑스 라돈 탐지기와 ESA 달 표면 음이온 분석기가 과학적 탐지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도 했다. 현재 중국 당국에 따르면 이탈리아 레이저 코너 반사경은 정상 상태이고, 라돈 탐지기는 달 표면에서 32시간 동안 작동했다.

중국은 향후 행성 탐사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2025년쯤 톈원 2호를 발사할 예정이다. 또 2030년경에 톈원 3호와 4호를 각각 발사할 계획이다.

이 두 위성은 화성 샘플링 귀환 임무와 목성 은하 탐지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장성배 dayoff88@naver.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