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심득: 1장2, 도는 도일뿐이다.

  • 등록 2024.07.11 14:31:03
크게보기

 

“道可道,非常道;名可名,非常名。无,名天地之始;有,名万物之母。”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무, 명천지지시; 유, 명만물지모)

 

“도를 네가 정의하면 비상의 도요;

이름을 붙이는 순간 비상의 이름이 된다.

없음은 천지 시작의 이름이요,

있음은 만물 시작의 이름이다.”

 

묘한 말이다. 알려주고 싶지 않은 듯싶다.

마치 이리 말하는 듯싶다.

 

“왜 알려고 하는가? 말하면 알아듣기는 하는가? 그럼 한 번 들어는 봐라.”

그리고 입을 땐다.

 

“도를 네가 정의하는 순간,

그 도는 상(常)도가 아닌,

비상(非常)의 도다.

 

마치 인간들 사이의 네가

네 이름으로 불리는 순간,

다른 인간과 구분돼

네가 되는 것과 같다.

이름이 있는 너는 너이지,

일반의 인간이 아니다.

 

하물며 그 것은 인간의 말일뿐이다.

보라,

인간에게 산은 산은데,

새에게도 산은 산이던가?

인간에게 강은 강인데,

물고기에게도

강은 강일까?

 

만물을 존재케한 게

만물의 도인데,

왜 너만 부르려 하는가.

 

네가 정의한 도는 너만의 도이지,

모두의 도가 아니다.

비상의 도인 것이다.”

 

천지만물 속에

인간이 있고,

인간 속에 나와 네가 있다.

 

유(有)와 무(無)도 마찬가지다.

나 아(我)와 비아(非我)가 그렇다.

 

유가 무엇이요, 무가 무엇인가?

 

노자는 말한다.

“무는 천지의 시작을 이른 것이요, 유는 만물 생산을 이름이다.”

유와 무를 그렇게 이 세상의 모든 존재를 대변한다.

유와 무가 맞닿는

접점에서 만물의 존재가 인식되는 것이다.

 

“故常无,欲以观其妙;常有,欲以观其徼(jiào)。此两者,同出而异名,同谓之玄。玄之又玄,众妙之门。”

(고상무, 욕이관기묘; 상유, 욕이관기요. 차양자, 동출이이명, 동위지현. 현지우현, 중묘지문)

 

“그리하여,

본래 무란 묘(妙)로 보이며,

본래 유란 요(徼)로 보인다.

이 둘은

본래 하나다.

이름만 다를 뿐이다.

 

그 현(玄)함이

같다. 현하고 현다.

바로 모든 묘(妙)함들의

문이다.”

 

노자의 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것은 묘(妙)와 요(徼)

그리고 현(玄)의 의미다.

 

한자 묘는 요즘도

자주 쓴다. 자전상 의미가

빼어남, 젊음, 요령 등의 뜻이다.

 

요는 요즘은

자주 쓰지 않는다.

 

그래서

도덕경의 이 한자 요의 용법에

다양한 해석이 있다.

 

한자 요는

삼성과 사성 발음이 둘이다.

경계 혹은

경계를 돌다는 뜻이다.

 

이 요를 구멍이란 뜻의 규(窍)와 같다고

보는 이도 있다.

 

묘는 핵심이요, 요는 경계다.

 

마치 아와 비아의 경계에서

만물의 존재를 인식하듯

 

유한이란 경계가 없는 무는

가운데 깊은 곳으로

존재를 알리며,

유한한 경계를 지닌 유는

드러나는 틀로서

그 존재를 알린다.

 

유와 무는

동전의 앞면, 뒤면처럼

‘무엇인가’의

맞닿은 양면이다.

 

무엇인지 하나의 존재에 대한

서로 다른 이름일 뿐이다.

 

그게 도인데,

무엇인지 설명할 수 없다.

오직 현(玄)하고 현하다 할뿐이다.

 

한자 현은 ‘검다, 어둡다’는 뜻이다.

깊은 곳에

빛이 없어

검게 보이는 그런 것이다.

 

다시 묻자

“도란 무엇인가?”

 

“도(道)는 도일뿐이다.”

노자의 답이 비로소 새롭다.

 

도란 이름 없이

유한의 존재, 나를

있도록 한 존재다.

 

현묘하다 할밖에 없는

현묘함이다.

박청로 parkchungro@haidongzhoumo.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