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이 바다가 되는 걸 욕심내는가? 그저 흘러가기만 바랄 뿐이다.

  • 등록 2024.11.08 11:04:59
크게보기

- 욕망과 욕심은 인간의 본심이다. 살아가는 이유다. 그 걸 버리면 과연 인간인가? 인간이길 포기하고 무슨 수양을 할까? 인간이 인간다운 게 그게 자연인 것을... 노자는 욕망이 나쁘다 하지 않는다. 다스리라 가르친다. - 편집자 주

 

 

“持而盈之 不如其已”(지이영지 불여기이)

“쥐고 잡으려느냐?

그냥 있는 게 낫다.”

 

잡고 싶으냐?

그럼

먼저 잡은 것을 놓아라.

 

잡는 것은

펴고서 하는 것이지

쥐고서 하는 게 아니다.

 

주먹으로

잡을 수

있는 건

없다.

 

날선 칼은

자르려는 것이고

 

자르다 보면

무뎌지는 게다.

 

날선 칼은

무딘 칼보다

항상 먼저

쓰이고, 먼저 무뎌진다.

 

세상의 이치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쥔 것에서

펴고,

잡고

다시 쥔다.

 

날이 서고

쓰이고

무뎌진다.

 

다시 날이 서야

쓰임이 생긴다.

 

재물을 모으는 것은

크게 쓰려는 것이다.

 

크게 쓸 줄 모르고

모으기만 하면,

쌓는 수고만 낳고

도적을 키워

스스로 지키는

고생만 낳는다.

 

성공이란 무엇인가?

주먹에 든 재물이다.

 

주먹을 펴야

새로 잡을 수 있듯

공을 세우면

떠나야

새로운 공을

다시 세울 수 있는 것이다.

 

도란 그렇게

물 흐르듯

 

사물의 흐름이

바뀌는 순서다.

쥐고

펴며

 

날이 서고

무뎌지고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마치 다람쥐 쳇바퀴처럼

돌고 돌지만

그렇게 돌면서

 

주먹은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잡고

 

날 선 칼은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깎으며

 

물은 끊임없이

세상을 씻고 또 씻는다.

 

성공이란 무엇이냐?

쳇바퀴가 돌며

일어난 쳇바퀴 밖의 변화다.

 

쳇바퀴는 그저

물처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그렇게

머물지 않고

흘러가는데

 

결국에 물이

바다가 되는 것이다.

 

아 저 물은

도대체 몇 번의

쳇바퀴를 돌려

저 바다가 됐는가.

 

물이 흐르지 않고

바다를 욕심내면

물은 마르고

 

주목이 펴지 않고 

잡으려 하면

상처만 날뿐이다.

 

무딘 칼이 날을 세우지 않고

물건을 자르려 하면

칼날의 이만 더 빠질 뿐이다.

 

물이 웅덩이에 만족하면

바다가 되지 못하고

 

주먹이 한 번 

잡은 것에 만족하면

다시는 잡지 못하며

 

칼이 한 번 벤 것에 

만족하면 

진정한 명검이 되지 못하듯

 

욕심 낼 것을 내면,

공이 따르고

공에 머물지 않으며

 

스스로의 쳇바퀴를 

말없이 돌리다.

주어진 것을 다하고 

바퀴를 멈추더라도

 

"나는 할 것을 했다"

할 수 있는 것이다.. 

 

노자는 

그 것이 하늘의 도라 하였다.

 

"功成名遂身退 天之道"(공성명수신퇴 천지도)

"공을 이뤄

이름이 나면,

몸은 물러 

나는 게 

하늘의 도다." 

 

 

 

박청로 parkchungro@haidongzhoumo.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