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음이 있어야 빈 곳이 생긴다. 빈 곳이 있어야 있음의 쓰임이 생긴다.

  • 등록 2024.11.14 11:20:59
크게보기

있어야 쓰는가? 맞지만 정확하게 있어서 빈 곳을 쓴다. 

 

 

물컵은 어디에 쓰는가?

물을 담을 때 쓴다.

 

빈 곳에 물을 채워 쓰는 게

컵이다.

 

컵의 쓰임은

모양에 있지 않다.

컵의 빈 곳

크기에 있다.

 

큰 컵은 모양이 큰 게 아니라

빈 곳 크기가 큰 것이고,

 

모양만 크고

물을 담을

빈 곳이 작으면

쓸모가 적다하는 것이다.

 

주먹은 쥐면

남을 때릴 때 쓰고

피면 물건을 잡을 쓴다.

 

남을 때리면

적이 생기고

남을 잡으면

친구가 생긴다.

 

빈 곳과 빈 곳을

채우면

이음이 생기고

이어지면 새로운 쓰임이 생긴다.

 

바퀴살이 가운데를

비워

축과 이어지고

동력을 받아 구를 수 있는 것이다.

 

빈 곳을 가진

흙이 그릇이 되듯

비워진 주먹이

악수를 가는 것이다.

 

오늘날 플랫폼이라는 것도

사람과 사람의

빈 곳을 채워 이어주는 것이다.

사람과 사람이

이어질 때

새로운 쓰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있는 유에서

없는 무를 찾으며

쓰임이

생기는 법이다.

 

그래서

‘當無有用’(당무유용)

“빈 곳에 쓰임이 있다.” 한 것이다.

 

 

 

 

 

박청로 parkchungro@haidongzhoumo.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