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으면 없는 것인가.

  • 등록 2025.01.06 07:45:12
크게보기

보이지 않으면 없는 것인가.

보이지 않으면

없는 것인가?

들리지 않으면

없는 것인가?

잡히지 않으면

없는 것인가?

 

우린 살면서 안다.

내가 보지 못해도

존재하는 게 있고

내가 듣지 못해도

존재하는 게 있으며

내가 잡지 못해도

존재하는 게 있다는 걸.

 

그걸 인정하는 순간

스스로 작음을 깨닫는다.

 

‘나의 세상’은

비록

내가 중심이지만

내가 없으면

‘나의 세상’도

존재할 수 없지만

 

그 세상은 내 뜻으로

존재하지도 움직이지도

않는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게 된다.

 

‘나의 세상’을

움직이는 그 무엇인가는

‘나의 세상 밖의 세상’도

존재하며, 움직인다는 걸

스스로 인정하게 된다.

 

삶은 그렇게

그 무엇인가를 보지도

듣지도 만지지도

못하며, 삶은 그렇게

그 무엇인가를 따른다는 것을.

 

우리 삶은 규율하는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으며

만질 수 없는

그 존재야말로

우리 모두가 아는 참된 ‘진리’다.

 

보이지 않아

묘사할 수 없고

들리지 않아

말할 수 없으며

잡히지 않아

데려올 수 없는

하지만

우리가 스스로 인정하는 ‘참’이다.

 

그래서

“执古之道,以御今之有,能知古始,是谓道纪。”

(집고지도, 이어금지유, 능지고시, 시위도기.)

“옛 도로 현존을 제어하며,

능히 옛 시작을 아는 것을

도기라 한다.” 한 것이다.

 

박청로 parkchungro@haidongzhoumo.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