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나와 너의 합이다. 나 없이 우리 없고, 너 없이 우리 없다.

  • 등록 2025.02.03 09:54:48
크게보기

세상에 어느 생물이 혼자 살 수 있더냐?

 

 

햇볕없이 수분 없이 

피는 꽃이 있더냐?

 

어느 식물이

양분 없이 자라며

어느 동물이 

먹지 않고 살던가?

 

세상에 홀로 사는 생물은 없다.

먹이가 있어야 살고,

내가 먹이가 돼야 또 다른 생물을 살린다.

 

그게 자연이요,

그게 '우리'다. 

 

'우리'는 무엇인가? 

'나와 너'

우리 속 나는 언제나 하나지만,

우리 속 너는 둘도 셋도

백도 천도 만도 된다.

 

우리는 항상 홀로인 나와

복수인 너로

구성되는 것이다. 

 

'나 + 너 + 너 + 너 …'

바로 우리의 산식이다.

 

약식으로 표현하면 

우리는 

'나 + 너희들'이다.

 

여기서 나를 빼면

'너희들'만 남는다.

 

너희는 우리의 상대어다. 

 

우리가 너희가 되는 것은 

우리에서 '나'를 뺐을 때다. 

우리에서 '너희'를 뺀 것이 아니라,

우리에서 '나'를 뺄 때 

나는 너희와 다른 '내'가 되는 것이다.

 

세상에 '나 홀로' 사는 게 있더냐?

 

내가 있어 너가 살고,

너가 있어 내가 사는 게 

바로 우리다.

 

'나 홀로'가 아니라 

우리만이 

생명을 유지하는 '합'이요, 자연인 것이다. 

 

우리 속 

내가 너를 위해 살고,

우리 속 

네가 나를 위해 살 때

우리는 

생명을 잇는다.

 

서로가

변(變)을 초래하고

화(化)를 일궈간다.

 

바로 

'만물병작'(萬物竝作: 만물이 함께 작용한다)의 도리다.

 

우리 속의

내가 너의 뿌리요

우리 속의 

너가 나의 뿌리인 것이다.

 

우리 속 너와 내가 

서로에게 양분이 될 때

우리는 번성하고

우리는 이어지며 되풀이 된다.

 

이 윤회는  

우리가 존재하는 한

항상

그렇게 이어진다. 

이 반복을 상(常)이라 하는 이유다.

 

내가 나를 버려

'너'를 위해 

양분이 될 때

또 너가 너를 버려 

나를 위한 

양분이 될 때

 

우리는 더욱 번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도리를 알면 

내가 '나'에 집착하지 않으며

 

나에 칩착하지 않을 때

우리는 더욱 견고해지며,

 

우리 속 너는 물론이요

우리 속 '나'도 더욱 강인해진다.

바로 

'몰신불태'(沒身不殆; 몸이 없어도 위태롭지 않다)의 경지다.

 

 

 

 

 

 

 

 

박청로 parkchungro@haidongzhoumo.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