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AI에 이어 인간의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신 기술에 도전 시작

  • 등록 2025.02.06 09:53:05
크게보기

 

중국이 ‘딥시크’로 ‘AI굴기’에 성공했다. 이제 인간의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기계와 인간’의 결합에 도전하고 나섰다.

사실 이 부분은 지금까지 미국이 세계를 주도하고 있는 시장이다. 무엇보다 앨런 머스크가 적극 추진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장에 호재, 베이징·상하이 연이어 행동 방안 발표하고 나섰다.

중 네티즌들은 또 한 번의 성과를 기대하고 나섰다.

2025년 새해를 맞이하며 국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관련 정책이 지속적으로 호재를 보였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은 《의료기기 표준 관리 방법》과 《의료기기 표준 제정 및 개정 작업 관리 규범》에 따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을 사용한 의료기기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위한 뇌전도 데이터셋 품질 요구사항 및 평가 방법》 추천 의료기기 업계 표준 제정 계획을 확정하고 이를 공시했다.

지방 차원에서는 1월 9일, 베이징시 과학기술위원회, 중관춘 과학기술단지 관리위원회, 베이징시 경제정보화국이 《베이징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혁신 발전 촉진 행동 계획(2025-2030년)》(이하 베이징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2027년까지 글로벌 영향력을 가진 선도 기술 기업 3~5개, 혁신형 중소기업 약 100개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이어서 1월 10일, 상하이시 과학기술위원회는 《상하이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미래 산업 육성 행동 계획(2025-2030년)》(이하 상하이 《행동 계획》)을 발표하며, 2027년까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핵심 기술 및 제품 연구개발 능력을 갖춘 자주 혁신 기업 5개 이상, 산업체계 핵심 기업 10개 이상을 양성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오랜 기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SF적인 개념으로 여겨졌으나, 이제는 정책이 지속적으로 자원을 해당 분야로 집중시키면서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지난 1924년 인류는 뇌파를 발견했고, 1973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념이 처음 제시되었다. 21세기에 접어들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발전은 가속화되었다.

과학기술부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 윤리지침》에 따르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뇌 내 혹은 뇌 외에서 뇌의 신경 활동을 기록 장치를 통해 수집하고, 머신러닝 모델 등을 사용해 신경 활동을 디코딩하여 주관적인 의도 등의 정보를 해석한 후,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를 제어하여 인간의 의도와 일치하는 행동을 수행하며, 외부 장치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해 상호작용하는 폐쇄형 시스템을 형성한다.

간단히 말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뇌 신호 수집 경로에 따라 비침습적(뇌 외), 침습적(대뇌 피질 내), 반침습적 세 가지로 나뉜다. 현재 중국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업 대부분은 비침습적 기술 경로를 선택하고 있다.

최근 2년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점점 더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정책적으로도 2021년 9월 과학기술부가 공식적으로 과학기술 혁신 2030 '뇌 과학 및 유사 뇌 연구' 주요 프로젝트 2021년 연간 프로젝트 신청 지침을 발표하면서 중국 뇌 과학 계획의 주요 연구 방향 중 하나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지능 기술을 포함시켰다.

2024년에는 관련 정책이 더욱 집중적으로 발표되었다. 2024년 정부 업무 보고서에서는 '신질 생산력'과 '인공지능+'를 처음으로 제시하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미래 산업의 중요한 대표로 언급했다. 2024년 1월, 공업정보화부 등 7개 부처는 《미래 산업 혁신 발전 촉진을 위한 실행 의견》을 발표하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10대 혁신적 대표 제품 중 하나로 지정했다. 2024년 7월, 공업정보화부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위원회 설립 계획 공시》를 발표하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분야의 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 산업 및 기술 전문가를 위원으로 초청할 계획을 밝혔으며, 세 가지 주요 업무 계획을 명확히 했다.

제3자 컨설팅 기관인 샤리반 대중화권 지역의 총괄 디렉터 저우밍즈는 "최근 몇 년간 정책 측면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산업에 대한 지원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중앙 정부의 정책은 주로 기술 돌파구와 산업 배치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지방 정책은 구체적인 기술 경로와 응용 사례의 확산에 더 집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베이징 《행동 계획》은 기술 돌파구, 플랫폼 구축, 클러스터 육성, 응용 사례 구축, 표준 제정 등 다섯 가지 측면에서 15개 주요 과제를 배치하고,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다분야에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제품 개발을 가속화하고, 의료, 산업 안전, 교육, 스마트 라이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범 적용을 추진하며, 응용 사례 구축을 통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혁신과 제품 상용화를 촉진할 예정이다.

정책의 지속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은 점차 실현 가능성 있는 영역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산업 발전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유혜정 lucirhj@naver.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