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조 위안’
한화로 약 1,190조 1,00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지난 2024년 한 해 중국에서 이뤄진 디지털 소비액이다.
중국 경제는 빠르게 디지털화하고 있다. 소비도 판매, 유통 등이 모두 인터넷 기반 위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이미 디지털 위안화를 발행, 이 같은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디지털 소비 규모는 6조 위안(약 1,190조 1,000억 원)을 돌파했으며, 실물 상품의 온라인 소매 매출이 전년 대비 6.5% 증가했다. 이는 사회소비재 소매 총액 대비 3%p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전체 사회소비재 소매 총액의 26.8%를 차지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디지털 소비 시장이 형성한 지 오래다.
최근 발표된 제55차 《중국인터넷발전상황통계보고》에 따르면, 정책 지원과 비즈니스 모델 혁신 등의 요인으로 인해 2024년 디지털 소비 시장이 활황을 보였다. 한편으로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각 지방정부와 협력해 소비자 보조금을 확대하고, ‘구형 제품 교체 구매’ 모델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온라인 소비액이 급증했다. 2024년 12월 기준, 온라인 쇼핑 이용자는 9억7400만 명에 달했다.
수징친은 "디지털 소비는 경제 성장과 국민 행복감을 높이는 중요한 방향"이라며, 정보 보안 감독 강화를 통해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고, 신제품·신업태·신서비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 공정한 시장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조 역시 빠르게 디지털 혁신에 동참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랴오닝(辽宁)성에 위치한 본시(本溪) 공구유한공사 생산 현장에서는 자동 유도 차량(AGV)과 무인 지게차가 질서정연하게 물류를 처리하고 있으며, 고해상도 카메라가 제품 품질을 정밀하게 검사하고 있다. 이곳은 랴오닝이동(辽宁移动)과 중싱통신(中兴通讯)이 협력해 구축한 ‘5G+스마트 공장’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본시 공구 정보부장 천양(陈杨)은 "과거 품질 검사는 검사원의 개인 역량과 샘플링 간격에 따라 편차가 발생해 불량품이 제때 걸러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며, "현재 5G와 머신 비전 기술이 결합되면서 제품 결함 검출률이 98%로 향상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5G 사설망을 통해 생산 데이터의 실시간 감시와 제어가 가능해지면서 전체 생산능력이 50% 증가했으며, 5G 스마트 창고 덕분에 작업 중단 및 자재 대기 시간이 50% 단축되고, 납기 일정도 20% 줄어들었다.
중국인터넷네트워크정보센터(CNNIC) 주임 류위린(刘郁林)은 "차세대 정보기술과 제조업의 심층적인 융합이 지속되면서 중국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현재까지 국가급 스마트 제조 시범 공장 421개, 성(省)급 디지털화 작업장 및 스마트 공장 1만여 개가 육성되었으며, 340개 이상의 영향력 있는 산업 인터넷 플랫폼이 구축되었다. 또한, 전국적으로 1만7000개 이상의 ‘5G+산업 인터넷’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41개 주요 산업이 전면적으로 커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