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혁명 4] 중국 내몽고 인사규정은 후춘화 잔재 세력 숙청을 위한 것

  • 등록 2025.02.21 11:24:42
크게보기

 

일단 내몽고에서는 무슨 일이 있는 것일까? 전문가들은 내몽고에서 간부 조정의 주요 목적은 후춘화의 군대를 제거하는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후춘화는 이미 낙마한 황태자다. 하지만 그의 세력은 내몽고에 남아 있었고, 이 세력에 대한 정리 차원에서 '정치력'을 강조한 간부 속아내기가 있었다는 것이디ㅏ.

 

중국 관영 '인민일보 온라인'은 제18차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이후 시진핑 주석이 내몽고를 세 차례 방문했고 전국인민대표대회 내몽골 대표단의 심의에 5차례 참여했다고 언급했다.

그렇다면, 내몽골은 간부의 무활동 문제를 해결하고, 간부들이 승진할 수 있도록 이행 규칙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또 다른 정치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

 

카이슨쿤은 이것을 분석하고 그러한 움직임은 또한 당시 후춘화의 사람들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후춘화가 내몽골의 서기였을 때 많은 관리들을 승진시켰기 때문이다.

후춘화는 이미 버려진 과거의 잠재적 후계자다.

 

“과거 내몽고의 반부패 캠페인은 주로 후춘화가 양성한 간붇들을 겨냥했다. 그런데 그런 식으로 능력이 좋지 않다는 등의 말이 나오고, 후춘화 시대의 남아있던 중하급 간부들이 숙청되고 있는 것이다.” 카이슨쿤의 말이다.

 

중국 공식 정보에 따르면 후춘화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내몽골 자치구에서 당 서기를 역임했다.

 

문제는 내몽고의 이 같은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확산할 수 있느냐다. 카이슨쿤은 "2024년 내몽골 자치구 조직업무 개요"라는 기사에서 감히 행동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간부 선발을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 것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내몽고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사실 어찌보면 보시라이, 저우융캉 등의 중국 정치 거물들이 제거될 때마다 벌여온 숙청 작업의 일환인지 모른다. 하지만 그동안은 '부패'라는 프레임을 씌워서 숙청을 했다.

중요한 것은 이제 그런 프레임조차 필요없는 상태가 되고 있는 것이다. 과거 문화대혁명은 오로지 '당성'이 당 간부를 숙청하는 사유가 됐다. 당성이 약하면 거기에 부패나, 과거 국민당과의 전쟁에서 간첩 혐의를 뒤집어 씌웠다.

 

“중요한 것은 소위 순수 간부 팀이다. 당 중앙에서 여러 차례의 숙청이 있었습니다. 과거에 리커창이 재사용했던 모든 간부들은 기본적으로 숙청되었는데, 여기에는 재정적으로 더 잘 아는 관리들도 포함된다. 이는 비교적 길고 정규화된 프로세스로 진행됐다”

 

장성배 dayoff88@naver.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