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의 기업 설비교체비 지원 정책에 힘입어 지난해 4월부터 올 2월까지 중국 기업들의 설비 구매 금액이 전년동기 6%가량 늘었다.
또 같은 기간 전기차 구입 지원 정책 덕에 전기차 판매량은 무려 50% 가까이 급증했다.
중국 당국의 소비 진작책에 힘입은 소비 효과가 연초 중국 경제를 서서히 달구고 있는 것이다. 다만 수치가 지난해 실적을 포함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 같은 정책 효과가 연내 지속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베이징르바오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국가 세무국은 부가세를 기초로 한 이 같은 내용의 중국 기업 활동 동향 수치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중국의 2024년 4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신에너지 차량 판매량은 전년 대비 45% 증가했고, 중고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18.1% 증가했다. 또 같은 기간 전국 기업의 기계 설비 구매 금액이 전년 대비 5.9%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두 가지 새로운 정책’이 시행된 지 거의 1년이 지나면서 전국 기업들의 설비 교체가 안정적으로 추진되었으며, 소비재의 교체 정책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평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 2024년 3월 《대규모 설비 교체 및 소비재 교체 촉진 행동 방안》을 발표했다. 이 조치는 세금 감면을 포함한 일련의 정책 조치를 포함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부가가치세(부가세)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통해 중국 기업들의 대규모 설비 교체 속도가 빨라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특히, 2024년 9월 말 이후 추가적인 정책이 지속적으로 효과를 발휘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 2024년 10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전국 기업의 기계 설비 구매 금액은 전년 대비 7.1% 증가하여 설비 교체 동력이 더욱 강화되었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지난 1년간 산업 기업의 기계 설비 구매 금액은 전년 대비 4.6% 증가하여 전반적인 설비 교체 상황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전송·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과 과학 연구·기술 서비스업의 기계 설비 구매 금액은 각각 18.7%와 21.7% 증가했다.
부가세 세금계산서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4월부터 2025년 2월까지 냉장고 등 일상 가전 소매업과 TV 등 가정용 시청각 장비 소매업의 매출액이 각각 전년 대비 28.6%, 19.9% 증가하여 가전 제품 소비가 활발해졌으며, 수요가 안정적으로 확대되었다. 또 가구 및 위생 용품 소매업의 매출액은 각각 18.6%, 13.8% 증가했다.
특히 로봇청소기 등 서비스형 소비 로봇 제조업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25.9% 증가하여 가정용 제품 소비가 늘었다. 전국 신에너지 차량 판매량은 전년 대비 45% 증가했고, 중고차 판매량은 18.1% 증가했다.
중국 당국은 2025년 대외 경제 여건이 불투명해지자, 자국 소비를 경제 성장의 ‘세 가지 주요 동력’ 중 하나로, 경제 내순환을 촉진하는 중요한 엔진으로 삼고 있다.
중국소비경제학회 부이사장이자 베이징공상대학교 상업경제연구소 소장인 훙타오는 소비재 교체 정책이 소비 진작, 도시·농촌 주민들의 소비 업그레이드 수요 충족, 내수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