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대학들의 연구 능력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
대학의 연구능력은 국가 기술 확보의 원천이다. 대학의 연구 능력이 늘어난다는 것은 또한 그만큼 우수한 능력을 배출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국제 고등교육 연구 기관 QS(Quacquarelli Symonds)은 최근 제15판 QS 세계 대학 학과별 순위를 발표했다.
중국 매체들 분석에 따르면 올해 순위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큰 발전을 이룬 10개 대학 중 7개가 중국(본토) 대학이었다. 또한, 세계적으로 가장 큰 성장을 보인 5개 대학 중 3개가 중국(본토) 대학이었다. 칭화대는 37개 학과의 순위가 상승했고, 단 1개 학과만 순위가 하락했으며, 3개 학과는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 종합적으로 칭화대의 순위는 88% 상승했다.
이번 순위에서는 중국(본토) 대학이 연구 분야, 특히 H-지수(H-Index)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중국(본토) 6개 대학은 14개 학과에서 H-지수 1위를 차지하며, 미국(17개 학과)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과학원대학은 6개 학과에서 1위를 차지했다.
중국(본토) 대학들은 논문 피인용 수 지표에서도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북경이공대학의 법학(201-250위), 후난대학의 환경과학(251-300위), 화중사범대학의 화학(601-700위)이 만점을 받았다.
학문 분야별로 보면, 중국(본토) 대학의 예술·인문학 분야에서 베이징대, 칭화대, 푸단대가 각각 28위, 33위, 79위를 차지했다. 공학·기술 분야에서는 칭화대, 베이징대, 상하이교통대가 각각 7위, 16위, 27위를 기록했다.
생명과학·의학 분야에서는 베이징대, 칭화대, 상하이교통대가 각각 26위, 51위, 71위를 차지했다.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칭화대, 베이징대, 중국과학기술대학이 각각 10위, 12위, 26위를 기록했다. 사회과학 및 경영학 분야에서는 베이징대, 칭화대, 푸단대가 각각 13위, 18위, 58위를 차지했다.
한편, 재료과학 분야에서는 총 66개 중국(본토) 대학이 순위에 포함되었으며, 그중 3개 대학이 세계 20위권 내에 진입했다. 칭화대는 해당 분야에서 중국 1위, 세계 6위를 기록했다.
예술사는 중국(본토)에서 가장 성공적인 학과 중 하나로, 2개 대학이 세계 10위권에 진입했다. 칭화대는 예술사 분야에서 세계 3위를 기록하며 선두를 달렸고, 톈진대가 그 뒤를 이어 8위에 올랐다.
공학 분야는 중국(본토) 대학의 강점 중 하나로 꼽혔다. 칭화대는 화학공학, 토목공학, 전기공학, 기계공학에서 모두 세계 10위권에 진입했다. 이러한 성과로 인해 칭화대는 공학·기술 분야에서 세계 7위를 기록하며, 중국(본토) 대학 중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베이징대는 언어학과 고전·고대사에서 각각 21계단과 10계단 상승하며 2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성과는 학술적 명성과 고용주 명성 지표에서의 상승 덕분이었다.
칭화대의 환경과학은 10계단 상승하며 세계 2위를 차지했다. 이는 학술적 명성과 고용주 명성 지표에서의 개선 덕분이었다. 이 두 대학은 해당 학과에서 세계적으로 학계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대학 중 하나로 꼽혔다.
베이징사범대의 교육학과는 세계 7위를 차지하며 글로벌 톱10에 진입했다.
중산대와 샤먼대는 올해 신규 학과 순위에 가장 많이 진입한 대학으로, 각각 13개 학과가 추가되었다.
눈여겨볼 점은 최근 개혁 이슈로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는 푸단대가 강력한 성장세를 보였다는 것이다. 이번 순위에서 총 29개 중국(본토) 대학의 217개 학과가 세계 50위권에 진입했다. 북경대는 43개, 칭화대는 33개, 푸단대는 30개 학과가 포함되며 그 뒤를 이었다.
총 학과 순위에서는 푸단대가 46개로 가장 많았으며, 북경대(45개), 저장대(44개)가 그 뒤를 이었다.
푸단대는 2025년 학과별 순위에서 인문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기술, 의학 분야 모두에서 100위권 내에 들었다. 특히, 공학·기술 분야에서는 컴퓨터과학 및 정보시스템(39위), 화학공학(32위), 데이터과학(49위)이 세계 50위권에 진입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푸단대는 학술적 명성에서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으며, ‘AIforScience(AI4S)’ 전략을 통한 공학 분야 혁신과 융합 연구 성과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며 학계와 산업계의 주목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