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매체, AI 인재 양성을 위해 문과도 아우르는 융합 인재 필요

  • 등록 2025.03.27 09:49:47
크게보기

 

‘AI 인재’

세계 각국이 탐내는 인재다. AI가 인류의 미래를 바꿀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자연히 이 AI개발에 필요한 인재들에 각국이 목을 매고 있는 것이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특히 중국은 미국을 이길 유일한 희망을 AI, IT에서 찾고 있다.

그럼 인공지능 기술은 학문 구축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 기술은 창의적 인재 양성에 어떤 시사점을 줄까?

중국 매체 펑파이 신문(澎湃新闻)은 ‘대학 2025’ 특집 기사를 통해 이 같은 문제를 숙고하며 인공지능 시대 대학의 변화를 조명했다.

이는 한국에도 적지 않은 참고가 되고 있다.

펑파이와 인터뷰에서 푸단대학교 고등교육연구소 연구원인 뇨우신춘(牛新春)은 인문·사회과학과 이공계 전공을 불문하고 모든 인재 양성이 고급 기술과 융합형 역량을 길러야 한다는 요구에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식 전달 중심에서 벗어나, 진정으로 능력과 소양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교육의 초점을 이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등교육이 대중화·보편화 단계에 접어든 지금, 교육은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 및 사회 발전과도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고등교육의 학문 구조와 개인의 전공 선택은 사회·경제 발전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문과 전공은 ‘공급 과잉’인가? 문과 모집 축소는 ‘공리주의적’ 조치인가?

이 문제를 다각도로 검토해야 한다.

 

첫째, 1990년대 말 중국의 고등교육 확장 이후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인문·사회과학의 교육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아 확장 속도가 이공계보다 빨랐다. 이에 따라 문과 전공 학생 비율이 40% 미만에서 50% 수준으로 급등했다.

 

둘째, 현재 중국의 산업 구조를 보면,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제조업을 포함한 2차 산업이 여전히 전체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몇 년간 2차 산업의 고용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셋째, 노동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고급 기술 인력이 부족하다. *맥코스 연구원(麦可思研究院)*이 발표한 2024년 중국 학부 졸업생 취업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높은 연봉을 기록한 전공은 전자정보와 자동화 등 공학 계열이었다. 반면, 실업률이 높고 급여·취업 만족도가 낮은 ‘위험 전공(레드카드 전공)’은 법학 등 문과 계열이 주를 이뤘다.

 

넷째, *맨파워그룹(万宝盛)*의 최신 인재 부족 조사에 따르면, 정보 및 데이터 기술, ESG 리스크 관리, 공학 기술, 지속 가능성 및 환경 분석, 영업 및 마케팅 등 ‘하드 스킬’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 신뢰성과 자기관리, 회복력 및 적응력, 비판적 사고와 분석력 등 ‘소프트 스킬’도 부족한 상황이다.

 

결국, 문과 모집 축소는 중국의 사회·경제 발전 상황에 맞춰 고등교육 학문 구조를 조정한 결과이다. 하지만 문과 모집이 줄어드는 동시에 융합 학문과 신공학 분야 모집은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와 고급 기술 인력 수요에 맞춘 능동적 대응이다.

따라서 학문 구조 조정은 지능 시대 인재 양성의 한 부분이며, 문과와 이공계를 막론하고 고급 기술 및 융합형 기술 역량을 갖춘 인재를 길러야 한다. 문과 전공자는 일정 수준의 정보 기술 역량을 습득해야 하고, 이공계 전공자는 인문학적 소양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 현장에서 실천되어야 하며, AI 기술의 보조를 받아 교육의 중심을 지식 전달에서 능력과 소양 배양으로 전환해야 한다.

 

학생 취업 관점에서 보면, 전공 선택은 거시적인 시각에서 국가 및 지역 산업 구조, 직업군의 역량 요구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우리는 종종 개인의 흥미를 지나치게 강조하지만, 사실 대부분의 학생은 자신의 관심사가 명확하지 않거나 쉽게 변한다. 전공 선택은 흥미보다 취업 가능성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지만, 학생들은 산업과 직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또한, 일부 학생은 수학을 피하거나 문과 공부가 더 쉽다고 생각해 문과를 선택하지만, 졸업 후 취업이 어려워 복수 전공을 이수하거나 각종 자격증을 취득하려 한다.

 

결국, 중국의 사회·경제 발전에 맞춰 고등교육 학문 구조를 조정하는 것은 학생들의 전공 선택을 거시적으로 유도하는 과정이며, 이는 매우 필요하다. 동시에, 학생들은 교내외 교육 활동을 통해 자신의 흥미와 능력을 탐색하고, 명확한 진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장성배 dayoff88@naver.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