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올 1분기 5.2% 성장 예측

  • 등록 2025.04.09 09:52:33
크게보기

중국의 올 1분기 경제성장율이 5.2%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중국 당국의 목표치와 일치하는 것이다.

미국의 관세전이 아직 본격화하지 않은 가운데 나온 수치여서 향후 중국 경제가 안정적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지 여부는 글로벌 경제 상황의 변화를 더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정췐르바오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다수의 중국 경제 전문가들은 2025년 1분기 GDP는 전년 동기 대비 약 5.2% 성장해, 연간 경제 성장 목표를 상회한 것으로 보았다. 중국 당국은 1분기 경제 거시지표를 잇따라 발표할 예정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증권 업계 전문가 및 수석 이코노미스트들은 올 1분기 중국 산업 생산과 소비 회복의 동력이 경제를 강하게 뒷받침했다고 보았으며, 부동산 투자 및 관련 산업은 여전히 일정 부분 부담을 주었다고 평가했다.

민생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 원빈은 2025년 1분기 GDP는 전년 동기 대비 약 5.2% 성장했을 것으로 예상했으며, 연초 경제 운용은 비교적 안정적이었다고 밝혔다. 외수는 다소 둔화되었으나, 정책적 노력으로 내수가 부양되었다고 분석했다.

중신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 밍밍은 《증권일보》와의 인터뷰에서 1분기 GDP 성장률이 약 5.2%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2025년 1분기 중국 경제는 작년 4분기 이후 회복 흐름을 이어갔으며, 전반적으로 호전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중금팀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1~2월의 경제 데이터를 종합하면, 1분기 GDP 성장률은 약 5.3%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서부증권 수석 애널리스트 뱐취안수이는 1분기 GDP가 전년 동기 대비 5.1% 성장했을 것으로 보며, 작년 4분기의 5.4%보다는 다소 둔화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밍밍은 올해 1~2월 발표된 데이터를 통해 산업 생산이 빠르게 증가하고 정책 강화로 내수가 회복되었으며, ‘노후 교체’ 정책이 사회 소비재 소매 증가율을 뒷받침했다고 밝혔다. 제조업 및 인프라 투자(광의 기준)도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했다. 3월 제조업 PMI는 0.3%포인트 상승해 50.5%를 기록하며, 경제가 안정 속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고 분석했다.

원빈은 올해 1~2월 주요 지표를 근거로, 전국 규모 이상 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하여 작년 전체보다 0.1%포인트 상승했으며, 서비스업 생산 활동 지수는 5.6% 증가해 작년보다 0.4%포인트 높았다고 밝혔다. 작년 연간 GDP 성장률이 5%였던 점을 고려하면, 올해 초의 성장률도 5% 이상을 유지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3월 PMI는 경제가 확장세를 지속하고 있음을 나타냈으나, 계절성보다는 다소 약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내수 측면에서, 1~2월 사회소비재 소매총액은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해 작년 전체의 3.5%를 웃돌았으며, 고정자산투자도 4.1% 증가해 작년 전체의 3.2%보다 높았다고 밝혔다. 이 중 인프라 투자와 부동산 개발 투자는 작년보다 양호했으나, 제조업 투자는 소폭 낮았다고 설명했다. 외수 측면에서는, 12월 수출이 달러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해 작년 연간의 5.9%보다 낮았으나, 무역수지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크게 확대되어 1분기 순수출이 경제 성장에 여전히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중금팀은 보고서에서, 춘절 시점의 차이와 정책 자극의 영향으로 3월 경제 성장률이 1~2월보다 소폭 개선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춘절 시점은 경제 활동의 회복이 작년보다 빨랐다는 점에서 저기준 효과가 작용했고, 정책 효과는 소비와 인프라 투자 증가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소비 측면에서는 3월 ‘노후 교체’ 추진이 가속화되었고, 특히 자동차 판매가 눈에 띄게 개선되었다고 언급했다. 투자 측면에서는 재정 자금의 집행과 실물 사업 진척으로 인프라 투자가 증가했으며, 무역 불확실성 속에 수출 일정이 앞당겨져 3월 수출 증가율을 끌어올렸다고 보았다.

2분기를 전망하며 밍밍은, 국내 경제가 외부 충격에 더 많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고, 일련의 정책 불확실성이 전 세계 경제, 무역 및 자본 흐름에 충격을 줄 수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책 측에서 내수를 확대하고 소비를 부양해 내생적 성장 동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성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 슝위안은 최근 2주간 정책이 여전히 성장 안정 및 내수 확대에 집중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세 가지 주요 정책의 시행 가능성을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첫째는 예금준비율 및 금리 인하로, 예상보다 큰 폭일 수 있다. 둘째는 재정 자극 확대이며, 올해 추가 국채 발행 가능성이 높다. 셋째는 내수 확대를 위한 보다 강력한 조치로, ‘노후 교체’ 보조금 확대, 최저임금 인상, 출산 보조금 기준 상향 등을 포함한다고 밝혔다.

다음 단계 거시정책의 중점에 대해, 월개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 뤄즈헝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첫째는 적극적인 내수 확대이며, 단기적으로는 재정 지출 확대, 조속한 예금준비율·금리 인하, ‘중앙 부동산 안정 기금’ 설립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중국을 세계 최대 소비시장으로 육성하여 소비 잠재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의 발언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둘째는 수출 관련 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고용 시장을 안정시키며 민생 보장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셋째는 외부 압력을 구조 개혁의 동력으로 전환해 경제의 잠재성장을 높여야 하며, 국민 소득 분배 구조를 개선하고 재정·세제 개혁을 통해 단기적으로는 재정 긴축 및 부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자본시장 투자·금융 개혁을 심화하여 중장기 자금의 시장 유입을 촉진하고 실물 경제를 보다 강력하게 지원하며, 주민의 자산소득을 증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밍밍은 “재정 정책 측면에서는 소비 및 사회보장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소비 쿠폰, 육아 보조금 등의 형태로 주민 소비 의욕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통화 정책 측면에서는 예금준비율·금리 인하 시기를 앞당겨 유동성을 적절히 유지하고,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을 낮추어 실물 경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동시에 부동산과 주식 시장의 안정을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혜정 lucirhj@naver.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