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업계가 레트로 열풍에 빠졌다. 1990년대를 연상케 하는 레트로 무드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패션 시장을 선도하는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레트로 패션은 1020세대에게는 신선하고 새로운 패션으로 인식되고, 3040세대에게는 지난 시절 ‘추억 속 패션’의 회귀로서 전 세대를 아우르며 인기를 모으고 있다.
‘레트로 패션’은 레트로스펙티브(Retrospective) 패션을 줄인 말로 ‘회고의, 옛날을 그리워하는’이란 뜻이다. 즉, 리바이벌 룩(복고풍)의 뜻으로 쓰이며 지나간 시절의 패션을 부활시킨다는 의미로 보면 되겠다. 여러 가지 이유로 과거의 향수를 느끼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준 ‘레트로’는 패션, 음악, 미술, 인테리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기적인 트렌드로 반영되어 오다가 현재에는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미러볼 아래 고고장, 커다란 라디오, 토마토 빨강색의 할머니 카디건, 부풀린 미스코리아 머리. 1980~1990년대를 풍미한 것들이자 올봄까지 이어지는 대세 트렌드다. 구찌에서 혜성처럼 나타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알레산드로 미켈레가 화려한 구슬장식과 자수 등을 이용해 레트로 디자인을 잘 살리면서 패션업계의 호응을 받은 것이 대표적이다. 더불어 버버리, 막스마라를 비롯해 여러 패션하우스에서는 자신들의 오래전 디자인을 새롭게 변형하는 형태로 드러내기도 했다.
레트로의 열기는 데님이 인기를 얻고 있는 데서도 드러난다. 이번 시즌에는 데님 트렌치, 롱스커트, 원피스 등 다양한 데님 아이템들이 등장했다.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데님재킷과 바지가 쏟아져나왔으며 데님을 변형시킨 악세서리들도 눈에 띈다. 스키니진은 사라지고 나팔 모양의 데님바지가 80~90년대 롤러장을 떠올리게 한다.
또한 90년대에 절정의 인기를 누린 빈티지 아이템들에 대한 열기가 대단하다. 빈티지 로고, 빅 로고의 레트로 로고 열기는 미국과 유럽 경계를 넘어 중국 대륙까지 번지며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패션계에 빈티지, 레트로 트렌드 바람이 불기 시작한 것은 몇 년전부터지만 이를 본격적으로 재점화시킨 주인공은 발렌시아가와 베트멍 디자인팀을 이끌고 있는 뎀라 즈바살리아(Demna Gvasalia)로 꼽힌다. 그가 지난해 파리 런웨이에서 선보인 국제 배송업체 DHL 로고 티셔츠는 수많은 리테일러들로하여금 탄성을 자아내게 했다. 럭셔리 패션쇼에 배송업체 티셔츠 등장부터가 기발한 착상이었다. 베트멍 라벨이라는 것은 극히 일부만 알고 패션 문외한들에게는 단순한 DHL 티셔츠였다. 이 티셔츠는 248달러를 호가하며 불티나게 팔려 나갔다.
이를 계기로 구찌, 지방시 등이 줄을 이었고 현재는 거의 모든 럭셔리 라벨, 유명 브랜드들이 자체 버전을 내놓기에 이르렀다는 것이 패션계의 관찰이다. 온라인 명품 리테일러 네타포르테의 지난해 톱 10 베스트 셀링아이템 중 발렌시아가, 베트멍, 구찌, 돌체 앤 가바나 등 5개 명품 하우스의 로고 티셔츠가 올랐다. 내년에 창립 50주년을 맞는 GAP은 지난해 90년대 로고 콜렉션을 선보인데 이어 로고 티셔츠, 스웨트 셔츠, 시그니처 GAP 럭비 셔츠 등 지난 50년 빈티지 아이템을 묶은 ‘로고 리믹스 콜렉션’을 준비중이다.
중국은 지난해 공전의 성황을 이뤘던 리얼리티 쇼 ‘더 랩 오브 차이나’(The Rap of China)를 계기로 밀레니얼스의 힙합, 스트리트 웨어와 함께 레트로 로고 열기가 한창 달아오르고 있는 중이다.
레트로 열기를 타고 빈티지 백도 화려하게 귀환해 눈길을 끈다. 지난해부터 주로 허리와 엉덩이에 차는 미니백인 패니팩은 Fanny Pack 은 그야말로 전성시대를 맞았다. 구찌, 프라다, 샤넬 등 하이엔드 브랜드들이 시즌 컬렉션에서 선보이면서 주목을 받은 패니팩은 이제 ‘힙섹’이라는 촌스러운 이미지를 벗고 패셔너블한 아이템으로 변화했다. 트렌디한 룩에 믹스 앤 매치한 패니팩은 오히려 쿨해보이기까지 한다. 패니팩은 어깨에 크로스로 메면 캐주얼한 느낌을 주고, 벨트처럼 허리춤에 걸치면 드레시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제 더이상 촌스러운 것이 아니라 스타일리시한 트렌드로 거듭난 레트로 패션.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 속에서 추억이 담긴 레트로 열풍은 세대를 아우르는 신선함으로 다가가고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패션피플을 사로잡는 레트로 패션의 인기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