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송법 시위 여파로 홍콩경제 심각

  • 등록 2019.10.16 18:42:56
크게보기

소매·관광업 직격탄…최저임금 인하할 수도

'반송법 시위'가 4개월째로 접어들면서 홍콩 경제가 심각한 위기다.  소매·관광업이 크게 타격을 받고 있고,  인력 구조조정을 하지 않은 기업은들 임직원들에게 무급 휴가를 강제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15일 홍콩 최저임금위원회 왕페이시(王沛诗) 위원장은 홍콩 동왕보와 인터뷰에서 "홍콩 경제의 영향이 심각해 최저임금 수준을 반드시 높이거나 낮추거나 동결하지 않은 것은 앞으로 홍콩의 최저임금 수준이 동결 또는 인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최저임금이 내려가면 소비긴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가뜩이나 심각한 경제형편에 설상가상이다.

 

2019년 5월 1일 홍콩의 시간당 최저임금은 34.5홍콩달러(1홍콩달러약 0.128달러)에서 37.5홍콩달러로 8.7% 오른 바 있으며 최저임금위원회는 2020년 말 최저임금 수준을 검토할 예정이다.

 

왕페이시는 “최저임금위원회가 최근 4개월간의 시위와 미중 무역전 등 불투명한 상황을 우려해 경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최저임금 수준 검토 및 제정은 전반적인 경제상황, 노동시장, 경쟁력, 사회전반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왕은 2019년 6~8월 총 취업자 수가 2011년 최저임금 시행 전보다 32만명 늘었으며 이 중 80%인 26만명이 여성으로 최저임금을 통해 노동시장에 더 많은 사람을 끌어들였다는 것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홍콩건설업총노조(香港建造业总工会)는 입법회의 과정에서 항의가 빗발쳐 700억 홍콩달러가 넘는 공사가 재무위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지 못하고, 35만명에 이르는 건설업자의 생계에 지장을 받아 업종이 한겨울에 접어들었다고 이날 밝혔다. 노조가 건설업계의 콘크리트, 자철, 템플릿 등 15개 직종에 대해 2019년 11월 1일부터 임금을 조정하지 않을 것을 권고한 것은, 건설업 10년 만에 처음으로 임금이 동결된 것이다.

박서현 faithpark@naver.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