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쐉11' 페스티벌 '삼분천하’

  • 등록 2019.11.13 20:21:52
크게보기

징둥·핀둬둬, 알리바바보다 확장성 높아

 

전자상거래 시장이 알리바바와 징둥, 핀둬둬 3판전으로 바뀌고 있다. ‘쐉11 쇼핑 페스티벌’은 알리바바가 기획한 것이지만 징둥과 핀둬둬도 선전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쇼핑 플랫폼 3국지’가 형성됐다.

 

'쐉11'최종 판매 데이터가 다 나오지 않았지만, 사용자 증가 수에서 징둥(京东)과 핀둬둬(拼多多)가 알리바바보다 더 확장성이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대륙매체 제일경제 12일 "사용자 서로 빼앗기고, 높은 보조금과 신제품 출시하면서 이번 전자상 거래 전쟁의 '삼분천하(三分天下)'한 국면에서 누가 이길 것인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보도했다.

 

천풍증권연구소 문호 소장은 " '쐉11'실적은 다음 분기에 포함되기 때문에, 다음 분기 알리바바의 종합 실적은 3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핀둬둬, 징둥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전사장 업무 위주이기 때문에, 기준수와 '쐉11'가 가져온 사용자 성장으로 인해 다음 분기에는 알리바바 종합 수입 성장 속도보다 더 높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문 소장은 “알리바바는 종합적인 전자상 플렛품으로 인터넷 큰 추세와 사용자 접속 습관에 따라 큰 도시에서 작은 도시로 확장되고 있다”며 “하지만 핀둬둬는 가격이 예민한 소도시부터 빨리 확장되고 나서 큰 도시에 침투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고, 올해 큰 도시에 침투 양상도 예상보다 적극적”이라고 말했다.

 

핀둬둬와 징둥의 지난 분기의 액티브 바이어가 3억 정도 달했는데, 이론상으로 이 두 화사의 사용자가 확장한 가능성이 더 높다. 알리바바의 경우 액티브 바이어가 7억 정도가 되는데, 중국 인터넷 사용자가 10억 정도라서, 알리바바의 사용자 체량이 거의 천장에 가까워졌다.

 

동시에 2019년 '쐉11' 각 플렛품의 전략도 다르다. 티몰(알리바바 전자상 플렛폼)은 대량 수입 신제품+단독 대리 신제품 위주인데, 핀둬둬는 저각전략+프리미엄 브랜드 보조금, 징둥은 1위안 저각전략+3C디지털 신제품이다.

박경민 chinaeconomy@haidongzhoumo.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