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우려 한다면 적이 아끼는 곳을 공격하라. 그럼 적은 지키길 포기하고 나와 싸우게 된다.”

  • 등록 2020.02.13 22:56:46
크게보기

“故我欲戰, 敵雖高壨深溝, 不得不與我戰者, 攻其所必救也”
(고아욕전, 적수고뢰심구, 부득불여아전자, 공기소필구야)

“싸우려 한다면 적이 아끼는 곳을 공격하라. 그럼 적은 지키길 포기하고 나와 싸우게 된다.”

“故我欲戰, 敵雖高壨深溝, 不得不與我戰者, 攻其所必救也”
(고아욕전, 적수고뢰심구, 부득불여아전자, 공기소필구야)

적을 이길 수 있고 준비도 돼 있다. 그런데 적은 성벽 뒤에 숨어서 나오지 않는다. 성벽은 높고 단단해 쉽게 공략할 수 없다. 어쩔 것인가?
손자는 이 순간 이렇게 조언을 한다. “적이 반드시 나와 구해야 할 것을 공격하라.”
한자 그대로 소개를 하면 다음과 같다.;
“적과 싸우려 한다면 적이 설사 성벽을 높이고 있더라도 어쩔 수 없이 나와 싸우도록 해야한다. 바로 적이 구해야할 수밖에 없는 것을 공격하는 것이다.”
단순하지만 승리의 길이 무엇인지 정확히 보여준다. 적과 싸워 이길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적이 반드시 불리한 지형에 나와 싸우도록 하라는 것이다.
요즘으로 치면 반드시 돈을 벌 곳에 투자하라는 것이다. 너무 당연한 말이지만 이게 지키기 힘들다. 우선 적과 싸워 이길 수 있도록 한다는 게 어디 말처럼 쉬운가? 내가 준비가 됐다고 하면 되는 것인가?
아니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판단능력이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다음 판단도 마찬가지다. 무엇이 적이 가장 아끼고 반드시 구해야할 것인가?
이 역시 판단이 쉽지 않다. 그래서 전쟁은 단순간에 결정되는 게 아니다. 오랜 연구를 거쳐 전쟁을 준비해 공격을 하는 것이다. 오랜 시간을 준비해 공격을 할 정도가 되면, 사실 적이 알아서 물러선다.
경영도 마찬가지다. 어느 사소한 경영 판단도 쉬운 게 없다. 오랜 경험과 준비가 필요하다. 그렇게 하나 둘씩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른 행동이 결실을 얻을 때 회사는 마치 웅덩이에 물이 차듯 그렇게 성장을 한다.
적이 가장 아끼는 것, 바로 내가 가장 공격을 해야 하는 요소다. 전쟁이든 요즘 경영이든 이 요소를 장악해야 이긴다.

박경민 chinaeconomy@haidongzhoumo.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