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 칭화대 졸업생 입주보모 논란에 중국 네티즌 "직업에 귀천 없다"

  • 등록 2021.06.01 10:30:38
크게보기

 

"시진핑 주석의 모교인 칭화대 졸업자가 가정부로 일을 한다."

최근 중국 뉴스다. 

기사는 차이나모닝포스트(SCMP)로 나와 한국에서도 유명해졌다. 기사에 따르면 A씨는 대학을 졸업하고 지난 2016년부터 줄곧 보모 생활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하이 최고급 가정부 파견 관리회사에서 자사 홈페이지에 A씨의 이력을 올리면서 언론에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희망 월급으로 3만5000 위안(약 610만원)이었다. 

칭화대 졸업생이 보모를 한다? 

한국 상황만 생각한다면 대단히 상리에 벗어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한국 기사 역시 '어떻게 칭화대 졸업자가 보모를 하지?' 하는 심리가 숨어있다.

하지만 월급을 보면 상황이 뭔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한국에서도 월급 600만원짜리 일자리는 쉽게 찾을 수 있는 게 아니다. 한국 연봉으로 1억원을 받아야 월 600만원을 조금 넘게 받는다. 중국에서는 더욱 말한 게 없다.

중국에서도 월급이 높다는 상하이의 지난 2020년 평균 월급은 높은 게 1만5000위안이다. 3만5000위안이면 그 배가 넘는다.

사실 중국 상하이는 고급 보모들의 일자리로 유명한 도시다. 과거 청나라 말기 중국의 최대 상도시로 성장한 상하이는 근대 중국 부자들의 고향이다. 어려서부터 남다른 교육을 시키기로 유명한 곳이다. 

한국의 반응은 그렇다고치고 그럼 중국의 반응 어떨까?

 

 

그 사람은 단지 밥을 하고 빨래하는 것만이 아니야.

 

직업에는 귀천이 없어, 사회 전체가 직업관을 바꾸길 바라.

 

직업 선택은 자유로워, 사회 실천에 입각해서, 자신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지.

 

황금이면 언제나 빛날 거야!!

 

다른 사람이 직업을 선택할 자유를 존중해야 해.

 

어떤 직업이든 새로운 시대의 요구와 자리매김이 있는 것이고, 새로운 직업은 새로운 기술과 인재를 필요로 하는 거지. 지지해!

 

누구도 칭화대 출신이 보모 역을 한다는 데 이상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빨래만 하지는 않을거야'라는 말이 정답이다. 한국으로 치면 아이 교육을 위한 보모라고 생각하면 될듯 싶다.

 

박혜화 kcl@kochina21.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