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6%'
지난해 중국 정부 빅데이터 시장의 성장률이다.
중국은 많은 인구가 특징이다. 그만큼 막대한 빅데이터가 쌓인다. 빅데이터는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그동안 막연한 추정에 의했던 사회학이 정확한 통계로 명쾌하게 분석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빅데이터는 사실 27.6%라는 증가율은 시장의 기대에는 오히려 못미치는 바가 있다.
중국 현지 매체들이 전하는 지난해 중국 정부 빅데이터 시장은 총 405억 7천만 위안(약 7조 794억원)에 달했다.
최근 중국 CCID컨설팅이 발표한 ‘2020~2021년 중국 정부 빅데이터 시장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 데이터의 양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공유의 개방도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 당국의 보수적 운용이 시장 성장을 제한하고 있다는 분석도 내놓는다. 실제 그만큼 중국은 자국 빅데이터 개방에 소극적이다.
미국이 개방적인 태도 세계 빅데이터 시장에 군림하고 나선 것과는 대조적이다.
현재 미국 기업에 뒤쳐진 중국 내부 사정을 고려한 어쩔 수 없는 조치라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자국 빅데이터 기업들의 미국 상장마저 제한하고 있다. 알리바바에 이어 디디추싱이 미국 시장에 자금을 조달했다 데이터 유출을 우려한 중국 당국에 제재를 받았다.
중국 당국은 사회 거버넌스와 정부 응용 프로그램은 데이터 거버넌스 구축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정부 응용, 보안, 교통, 교육, 의료 등 분야의 응용 환경을 더욱 풍부하게 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중국 서버 기업 인스퍼(Inspur)는 정부 빅데이터 시장 분야에서 계속 선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좋은 의미로 선도지만, 강력한 시장 통제를 하고 있다는 의미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코로나19 데이터 조회 서비스’를 지원하여 중국 내 건강코드를 효과적으로 제고하여 서비스 호출 횟수가 1000억 회를 넘어섰고, 하루 증가한 호출 횟수는 최고 2억 회에 달했다. 하지만 제공되는 데이터는 철저히 중국 당국이 통제하고 있어 신뢰도가 크게 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