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만대'
중국 베이징시 당국이 시내 공유자전거 수를 50만대 이하로 제한키로 했다.
넘치는 공유자전거가 시내 오염물로까지 부각된 탓이다. 내년 베이징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깔끔한 도시 이미지 구축을 위한 노력이다.
사실 이렇게 된 데는 중국 공유자전거 업체의 난립이 큰 원인이 됐다. 서울시의 따르릉과 달리 중국에서는 공유 산업이 IT벤처 사업가들의 몫이다. 수많은 이들이 앞다퉈 보다 편리한 기능을 탑재한 플랫폼을 만들고 공유자전거를 이용하도록 했다.
많은 업체들이 난립하게 된 것은 사실 중국 사회의 선불 제도 탓이 컸다. 중국 사회는 의외로 선불카드 서비스가 일반화된지 오래다.
미리 수백 위안의 돈을 주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식인데, 일단 소비자 입장에서는 이자율만큼 할인을 받으니 이익인 듯 싶다. 반면 업체 측에서는 선금을 미리 받아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하지만 이건 모두가 좋을 때 이야기다. 대체로 선금을 미리 받은 업체는 사업을 하다 좀 이상하다 싶으면 폐업을 하고 도주하기 일쑤다. 결국 손해는 미리 선금을 준 이들이 보게 된다.
공유자전거의 경우 이 같은 선금은 아니지만 '야진'이라 불리는 보증금을 미리 받는 형식으로 선금을 챙겼다. 그리고 반짝 사업을 하다 폐업을 하고 도주하기 일쑤였다. 그 결과 금전적 손해는 소비자들이 지고, 수많은 자전거는 고스란히 방치돼 폐물이 됐다.
이번 베이징시의 조치는 이 같은 악순환의 고리를 총 자전거 수 제한으로 방지하겠다는 의미다.
베이징시 교통위원회는 2022년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 교통서비스 보장을 위해 베이징 시내 전역에서 공유자전거 '100일 정비'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계획에 따르면 시는 2022년 1월 30일까지 도심지역 자전거 수 상한선을 50만 대로 단계적으로 조정한다.
베이징시 교통종합관리소조판공실 '공유 자전거 '100일 정비' 사업에 관한 안내문'에 따르면 베이징시는 내년 3월 15일까지 시내 전역에서 공유 자전거 '100일 정비'에 나선다.
올림픽센터 등 올림픽 경기장 주변 및 관련 도로, 지하철역 입구, 대단지 주거지역 등 공유자전거 주차 문제가 비교적 두드러진 지역을 중심으로 정비하고, 기업의 불법투입, 차량 난립 등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단속하여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동계패럴림픽을 위해 좋은 환경 질서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