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종합시범구 132곳 설립

  • 등록 2022.06.10 14:56:03
크게보기

'132개'

중국이 최근 허가한 온라인 전자 상거래 수출입 가능 구역 수다. 이들 구역은 총 6개 묶음으로 나뉘어 단계별로 허가됐다. 이들 지역에서는 상품을 전자 상거래를 통해 자유롭게 수출하고 수입할 수 있다.

중국이 수출입 전문 전자 상거래 회사를 육성하고 나서 주목된다.

자칫 아시아 전자 상거래 플랫폼 주도권을 중국이 선점할 수 있어 한국 정부의 전략적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최근 정책 정례 브리핑을 개최하고 '전자상거래 수출입 회사 육성 계획'을 밝혔다.

이 계획에 따르면 국무원은 이미 전국에 132개의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종합 시범구를 6차례 걸쳐 설립했다. 올해 1분기 중국 전자상거래 수출입액은 434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했다. 1월부터 4월까지 시장조달무역 수출액이 2600억 위안을 넘어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 해외창고의 수와 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현재 해외창고의 면적은 1600만 평방미터를 넘어섰고 그 중 90%가 북미, 유럽, 아시아에 위치하고 있다. 한국에는 2,000개 이상의 대외무역 종합서비스 기업이 있다.

국무원은 지원 정책을 개선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국경 간 전자 상거래 수출 반품 및 교환을 가능한 한 빨리 촉진하고, 자격을 갖춘 국경 간 전자 상거래 기업이 첨단 기술 기업을 사용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및 조치를 도입 할 것이다.

특히 전반적으로 실물 경제를 지원하는 국경 간 위안화 비즈니스의 능력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국경을 넘는 위안화 거래액은 2조6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다.

한국 전자상거래 업계 한 관계자는 "전자 상거래 시대가 되면서 국경이 사실상 무의미해지고 있다. 유일하게 언어가 문제인데, 이제 자동 번역기능으로 그 마저 벽이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어느 나라가 어떤 제도를 운영하느냐 향후 미래 전자상거래 시장의 주도권을 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정부의 규제 개혁이 절실하다는 의미다.

 

박정민 pjm@kochina21.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