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 발전하면서 플랫폼도 변화하고 있다. 인터넷 초기에는 구글과 야후, 네이버 등 포털이 대세를 이루었지만 그후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 시장을 휩쓸었다. 최근에는 짧은 동영상 플랫폼이 뜨면서 구글 등 거대 플랫폼 사업자들이 인수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틱톡(TikTok)’ 등 짧은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구글이 ‘파이어웍스’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페이스북도 멕시코 등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 자사 동영상 프로그램인 라소(Lasso)를 보급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6일 짧은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시장이 폭풍전야라고 보도했다. 틱톡은 미국과 일본을 포함한 시장 입지를 굳히면서 전 세계 곳곳의 젊은이들을 열광시키고 있다.
틱톡은 2018년 7월 전 세계 월 5억명이 넘는 가입자를 기록했다. 국제 어플리케이션 시장 연구 기관인 센서타워(Sensor Tower) 집계결과 틱톡이 2019년 9월 미국 애플앱스토어의 상위권을 지속적으로 차지하고 있다.
지난 6월 틱톡 및 해외판 틱톡은 애플과 안드로이드 앱스토어 내에서 전 세계 구매액 1080만달러를 달성하여 사상최대의 누적 구매액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60만달러보다 588%, 전월 대비 19% 는 수치다.
업계에서는 틱톡 자체를 유지하면서도 현지화 수요에 맞춰 미세조정을 한 것이 주효했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틱톡이 빠르게 대세가 되고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 소셜 플랫폼과 정면 승부를 벌일 수 있는 기세는 모기업 바이트의 자본과 운영의 덕분이다.
페이스북은 2018년 11월 미국에서 라소를 출시했는데, 사용자들은 이를 이용해 15초 동안 공유된 짧은 동영상을 만들 수 있다. 많은 사람이 틱톡의 리메이크라고 생각하며, 페이스북은 이를 통해 계속해서 빠져나가는 이용자를 다시 끌어들이고 노력하고 있다.
구글은 틱톡의 커져가는 영향력에 맞서 동영상 제작 및 공유를 검토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5일 보도했다. 파이어웍스는 자신의 목표를 소셜 모바일 TV의 미래로 설정했는데, 올해 초 시가총액 1억달러를 돌파했다.
마크 엘리엇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는 틱톡이 미국에서 호황을 누리기 시작하면서 인도 등에서 급성장한 점을 주목하며 중국의 기술 대기업이 전 세계에서 최초로 성공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