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9일 방콕에서 폐막된 유엔 아시아태평양 여성권익심의회의에서 '베이징 선언 25주년 및 성평등 촉진과 여성 권익 아태 장관급 선언'이 37 대 1로 통과됐다. 미국은 낙태 찬성이 자국 정책과 다르다는 이유 등으로 참가국 중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졌다.

이번 회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내년 베이징 세계여성대회 25주년을 기념해 개최하는 지역준비회의로, 이 지역 여성의 권익 보장과 관련한 업무 진행 상황에 대한 지역평의다. 40여 개국이 정부 대표단을 파견하고 24개국이 장관급 대표단을 파견하는 등 회의의 중요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세계여성대회의 역사적 위상과 성취를 높이 평가하며, 베이징 정신을 지키고 성 평등과 여성사업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선언은 협상 끝에 이루어진 타협의 산물이다. 미국은 "여성의 생식건강 권리와 자유를 존중한다는 내용과 미국의 반낙태 정책에 저촉된다는 이유로 만장일치로 채택되는 것을 막고 가명 표결을 요구했다. 투표 결과가 발표되자 환호와 박수가 쏟아졌다. 미국의 동맹인 호주 뉴질랜드가 미국의 경직된 입장에 실망했다고 공식 발언했다. 중국 대표들은 다자주의를 고수할 것을 호소하며 개별 일방주의 국가들에 “고해는 끝이 없으나, 깨달으면 극락”이라고 말했다.
선언은 아태 국가들이 1995년 제4차 세계여성대회에서 통과한 ‘베이징선언’과 ‘행동강령’의 정착, 국가발전계획과 재정예산에 성평등을 포함시키는 등 의사결정과 지속 가능한 아젠다와의 융합발전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선언은 모든 여성들에게 평등한 교육기회, 떳떳한 직장, 유리한 근로 조건과 임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촉구했다. 선언은 각국이 이익에 관계되는 측의 협력을 약속하고 소극적인 성규범, 차별적 사회 태도를 바꿀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