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출산율 70년대 수준 회복

  • 등록 2019.12.27 10:02:36
크게보기

이민자 받아들여…미출산자 비율 높아져

이민자를 적극받아들이면서 독일이 출산율을 1970년대 수준으로 회복했다. 그러나 노령 출산과 아이를 낳지 않는 미출산율도 늘면서 독일 정부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사회복지가 좋은데도 불구하고 독일은 여전히 저출산 국가이다. 최근 몇 년 간 독일이 이민자를 많이 받아 출산율이 조금씩 올라오고 있다. 현재 출산율이 1970년대 수준으로 회복됐다.

 

최근 독일 연방통계국은 출산율 관련 통계를 발표했다. 2018년 독일은 79만명의 신생아를 기록했다. 이 중 36만6000명의 아기 엄마가 처음으로 출산했다. 이들의 첫 출산 당시 평균 연령은 30대였지만 2017년에는 29.4세였다.

 

추가 통계를 보면 장년 독일의 전체 첫 출산 여성 중 48%가 30~39세였다. 여성 중 3% 즉 약 1만1000명의 여성이 첫 아이를 낳았을 때 40세가 넘었다. 구역별로 나누면 독일의 직할시와 비교적 발달된 연방주에서 여성의 첫 출산 연령이 현저히 더 늦어진다. 1위인 함부르크로는 평균 첫 출산 연령은 31세, 베를린은 30.5세, 바이에른과 바덴뷔르템베르크는 30.2세, 헤센은 29.9세였다.

 

이 수치들은 출산에 대한 독일 사회의 태도가 50년 동안 얼마나 변했는지를 보여준다. 1970년대만 해도 독일 서부 여성은 24세 전후에 첫 아이를 가졌지만 당시 독일 동부 지역에서는 22세까지 첫 아이를 가졌다.

 

'최종 미출산율'이라는 또 다른 중요한 통계는 45세에서 49세 사이에 출산한 적이 없는 여성의 비율이 2008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17%에서 21%로 늘었다. 최종 미출산율에서도 동서부 지역에서 여성의 무자녀비율은 동부 지역이 서부 지역보다 현저히 낮다. 그러나 통계에 따르면 10년 사이 동부 지역의 최종 미출산율은 두 배가 올라 평균 7%에서 15%로 높아졌다.

이정연 leejungyeon@haidongzhoumo.com
Copyright @2017 한중21. All rights reserved.

(주)무본/서울 아 04401/2017.3.6/한중21/발행인·편집인: 황혜선 서울특별시 중랑구 사가정로41길 6, 1층 101호 02-2215-0101/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