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자리에 없어 더욱 주목받은 왕후닝

시진핑(习近平) 중국 국가 주석의 아시아 순방이 끝났다. 대단히 성공적이었다는 게 중국 안팎의 공통된 평가다. 특히 미국 주류 매체들은 자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결과는 폄하하면서도 시 주석의 성과는 높게 평가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의 아시아 순방이 시 주석을 빛나게 했다"라고까지 평했다. 이 같은 시 주석의 아시아 순방에서 자리에 없어 더욱 주목받은 인물이 있다. 

 

바로 중국의 '3 책사 불리는 왕후닝(王沪宁)이  주인공이다뉴욕타임스는 최근호에서 이번  주석의 아시아 순방 일정 곳곳에 왕후닝의 흔적이 있다며 “왕후닝이 배석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각본 그대로 진행됐다는 것을 느낄  있었다"라고 평했다뉴욕타임스는 지난 14일 자 지면을 크게 할애해  63세의 왕후닝 이력과 생각을 상세히 소개했다 가운데는 우리 역시 주목할 대목이 적지 않다.



먼저 왕후닝의 근본적 생각을 미국 중국 연구 기관들과 주변인들을 취재해 전했다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왕후닝은 일찍이 80년대 미국을 두 차례 방문했었다당시는 그가 마르크스 주의를 공부한  서방 정치사상을 공부해 나이 30세에 상하이(上海) 푸단(复旦) 대교수가  뒤였다 왕후닝의 미국 방문 당시 가졌던 생각을 훗날 미국이 미국을 반대한다  속에 남겼다그는 그때 이미 미국은중국이 쫓아갈 모델이 아니다라는 확신을 가졌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뉴욕타임스가 그의 제자 등을 취재한 결과, 당시 왕후닝은 이미  서구 현대화는 물질적 풍요는 가져다줄  있지만인격의 품위를 높여주지는 않는다"라고 생각했다그는 80년대 말 상하이에서 ‘신권위주의’를 주장해 주목을 받았다.
왕후닝은 법학과 사상 전공의 이론가답게 논변에 뛰어났다한 번은 그가 그의 대학 제자들과 함께 싱가포르에서 열린 논변 대회에 참여해 대만 대표를 5 대 0의 점수로 누르고 완승을  적이 있다당시 논쟁은 성선설과 성악설을 서로 주장하는 것이었는데왕후닝의학생들은 성악설을 논증했다당시 그는 회초리를 상징적으로 교단에 세워놓고 학생들을 훈련시켰다고 한다하지만 실제 그가 학생들을 때린 적은 없다는  그의 제자들의 회고다.
중국의 대다수 지식인들이 개혁개방과 함께 서구식 자유민주주의에서 중국 발전의 답을 찾을  왕후닝은 전혀 다른 생각을 했다고한다중국은 보다 강력한 지도력이 있어야 현대화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룰  있다고 그는 생각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민주주의는 현대화를 이루고 나서의 과제라는 것이다이것이 왕후닝의  권위주의 사상이다.
그는 89 중국 천안문 사태를 앞두고 베이징(北京)과 상하이에서 번진 자유주의 운동에 거리를 둔다천안문 사태 직후 장쩌민(江泽民) 당시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