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애국영화 "나와 나의조국" , 4대 영화제인 창춘영화제 대상수상.

중미 간 각종분쟁으로 대외관계가 어수선한 시기인 지난 10일 저녁에 열린, 중국의 제 15회 창춘영화제 ( 第十五届中国长春电影节 ) 에서 ' 나와 나의 조국, ( 我和我的祖国 ) 이 최우수영화상을 수상했다.

 

지난해 2019년 9월 30일 전국에서 첫 상영된 '나와 나의 조국' 영화는 지난해 박스오피스 관객입장수입 약 31억 위안 ( 한화환산 약 5천 4백억원) 을 기록하며 3위에 올랐던 영화이다.

 

이 영화는, 지난 1949 년 신중국이 창립된 이래 중국의 영광과 자존감을 고양시킨 7개의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에피소드를 소재로 중국 최고의 남녀 배우들이 출연해 관심을 모으기도 했던, 이른바 애국영화로 불린다.

 

즉 7개의 서로 다른 주제의 사건과, 각 편마다의 주인공이 각각 존재하는 형식의 단편영화들을 한데 묶은 158 분짜리 장편 영화로, 여기서 각각 단편들의 제목과 내용등을 살펴본다.

 

1편 전야 《前夜》

 

 

1949년 10월 1일 중국이 천안문 광장에서 '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을 선언하는 행사의 최대 하이라이트는, 마오쩌동 주석일행이 천안문 누각에 올라 '신중국성립을 선언'하고 국가로 지정된 의용군행진을 합창하는 가운데, 국기로 지정된 오성홍기가 천안문광장의 국기게양대에 올리는 식순이었다.

 

이 때 국기게양대에 오성홍기를 올리기위해 전동기가 설치된 국기게양대를 세우는 책임을 맡은 린츠위엔 ( 林治远) 이라는 엔지니어겸 총설계사가 이 임무를 완수하는 일련의 과정을 엮은 단편.

 

2편 어떤 만남 《相遇》

 

 

1964년 중국의 원자탄 개발 성공과정에 참여했던 중국의 과학자들은 서로의 신분을 알 수 없는 극도의 보안상태에서 생활해야 했다고 한다.  이 중 임무를 위해 가족과 연인과의 연락도 끊고 국가대업을 몰두했던 한 젊은 과학자가 버스에서 우연히 연인이었던 여인을 만나고도 합치지 못했던 이야기를 담은 단편. 

 

즉 만나기는 ( 相遇 )했으나 같이 하지는 ( 相聚) 못했던 이야기를 담았기에 제목이 어떤 만남이다.

 

3편 우승 《夺冠》

 

 

1984년 8월 중국 여자배구대표팀이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결승전에서 금메달을 따기 까지 생중계 장면을 지켜봐 왔던 상하이 스쿠먼 농탕 ( 上海石库门弄堂, 1842년이후 1. 2차 아편전쟁의 패배이후 영국 프랑스 등에 강제로 조차된 상하이 지역에 유럽식으로 지어진 서양식 가옥들이 밀집된 골목들을 이르는 말) 의 일반 주민들이 만끽한 감격의 순간들을 재구성한 단편.

 

4편 회귀 《回归》

 

 

홍콩의 중국회귀 의식과 행사를 준비했던 외교관 인민해방군과 홍콩의 경찰 등 관련인사들이,  식민지 홍콩이 중국의 주권으로 다시 돌아오는 시점인 1997년 6월 30일 24시 60분 즉 1997년 7월 1일 0시 0분에 맞춰 중국의 오성홍기를 홍콩의 메인반환식장 뿐만아니라 홍콩의 각 행정청과 군부대에 게양될 수 있도록 하는 숨막히는 준비상황과 7월 1일 0시 0분 의 순간을 재구성한 단편.

 

5편 베이징 안녕? 《北京你好》

 

 

2008년 8월 8일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을 앞두고. 천금으로도 살 수 없었던 입장표를 우연히 얻게 된 베이징의 보통시민들을 둘러싼 에피소드를 재구성한 단편.

 

6편 한낮의 유성 《白昼流星》

 

 

평범한 중국의 두 청년이 전국을 여행하던 중에, 2016년 11월 18일 중국의 우주선 선저우 11호의 비행선이 지구 대기권을 통해 중국의 대지로 착륙했던 광경속에서 , 동화속에세 읽었던 ' 한 낮에 쏟아지는 유성 ' 현상을 목격하는 이야기를 그린 단편.

 

7편 호항 《护航》

 

 

중국 공군의 전투기 조종사인 여성주인공이 2015년 반 파시스트전쟁승리 70주년 기념식에 참가하는 공군전투기 열병준비단의 예비조종사로 지명된 이후, 완벽한 열병식 비행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겪는 에피소드를 그린 단편.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