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세계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17% 차지

'2700 억 달러 시장'

세계 건강기능성 식품 시장의 규모다. 중국이 이 시장을 노리고 나섰다. 사실 중국은 인구가 세계에서 제일 많은 나라다. 다른 나라는 이 중국의 규모를 상상도 못한다.

이 인구 대국 중국이 빠르게 고령화하고 있다. 이쯤 되면 무슨 말인지 안다.

중국이 세계 최대 건강 식품 시장이 되는 것은 필연적인 일이라는 것이다.

중국은 이 시장을 놓치지 않기 위해 각종 규제로 시장을 보호하고 있다. 자국 기업이 성숙해지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중국은 시장을 제대로 안다. 관리할 줄 안다. 필요한 외국 기업을 들어오도록 해 수익을 챙기게 하면서 기술을 빼내고 자국 기술이 성숙해지면서 제도를 바꿔 외국 기업을 퇴출시킨다. 물론 힘 있는 곳은 빼고 말이다.

중국의 건강기능성 식품 시장을 어떻게 진출할 것인가, 한국 정부와 기업들이 관심을 쏟아야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은 식이 보조제, 스포츠 영양, 체중 관리, 전통 영양 등 4가지 범주로 나뉜다.

최근 몇 년 동안 세계 소비자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규모는 계속 성장하고 있다. 미국 시장은 세계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으며 시장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중국 시장은 선진국보다 늦게 시작되었지만 현재 급속한 발전 단계에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1년 현재 전 세계 건강기능식품 산업 규모는 2732억 42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 중 미국 시장 규모는 852억 9800만달러로 세계 시장의 31.22%를 차지해 세계 1위다.

중국 시장 규모는 485억3600만 달러로 세계 시장의 17.76%를 차지해 2위다. 중국 소비자 건강기능식품 업종은 2025년 624억100만 달러 규모로 6%가 넘는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보상회가 발표한 《중국 식이영양보충제업 발전보고서(2020)》에 따르면, 현재 공급 단위로 볼 때, 중국은 전 세계에서 식이영양보충제의 산업 사슬이 가장 완전한 국가 중 하나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원료 공급자이다.

또한, 중국은 세계 최대의 생산국이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의 건강보조식품 생산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영양건강 산업사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중 중국은 비타민, 아미노산, 식물추출물 등 식이보충제 원료 생산 및 수출에 큰 강점을 갖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