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저우언라이 인물탐구 <3> 뒤에서 쏜 화살은 피하기 어려운 법이다

 

1965년 11월 문화대혁명의 불길이 타오르기 시작했지만, 베이징 중난하이(中南海)의 지도자들은 아직 인식하지 못했다. 본래 뒤에서 쏜 화살은 피하기 어려운 법이다. 

 

11월 10일 상하이 원후이바오(文汇报)에 야오원위안(姚文元)이 쓴 '신편 역사극 '해서파관'을 평한다'가 실렸다. 당장 여론은 들끓었다. 모두가 야오원위안의 트집이 지나치다는 것이었다. 본래 명나라 대신 '해서(海瑞)'의 청렴결백은 마오쩌둥(毛泽东)도 인정한 것이었다. '그런 걸 어디 감히 야오원위안 정도가 비판을 하다니?'라는 게 대체적인 분위기였다. 그러나 모두가 모르는 것이 있었다. 야오원위안 뒤에는 마오쩌둥의 아내 장칭(江青)이 숨어 있었고, 장칭의 뒤에는 바로 마오쩌둥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마오쩌둥은 당시 중국에서 인민 전체를 대표하는 인물이었다. 대부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마오쩌둥의 지지가 있자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어쩔 수 없이 야오원위안의 글을 전재한다. 정치적 파문을 최소화하기 위해 글은 '학술난'에 실렸으며 편집자주(註)가 달렸다. 이 편집자주는 당연히 저우언라이(周恩来)와 펑전(彭真) 베이징 시장의 심의를 거친 것이었다.

 

당은 언제나 학계의 백가쟁명을 지지해왔다. 

우리는 비판의 자유를 용인하며 역시 비판에 반대할 자유도 보장한다. 

잘못된 의견이라도 이치를 따져 고친다.

오직 실체적 진실을 추구하며, 이치로 서로를 설득할 뿐이다.

 

당시 인민일보 편집자주의 주요 내용이다. 야오원위안의 글을 전재는 하지만, 다양한 의견을 소개하는 차원이니 서로 이치를 비판해 잘못된 사람이 스스로 깨닫도록 하라는 의미다. 지금 읽어도 이른바 '정치적 감각'이 많이 떨어진다싶다. 마오쩌둥은 인민일보를 '물을 부어도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반동정신이 단단해 개조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사실 인민일보 편집자주에는 어떻게든 ‘해서파관’을 쓴 역사학자이자 베이징 부시장인 우한(吴晗)에 대한 비판이 정치적 의미를 갖지 않도록 노력한 저우언라이와 펑전의 고충이 숨어 있었다.

저우언라이는 우한과 오랜 교분을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그런 저우언라이의 바람은 바로 깨지고 만다. 이번엔 캉성(康生)이 나섰다. 그가 '해서파관'의 숨은 의도를 1959년 루산(庐山)회의와 연관짓기 시작했다. 캉성은 이른바 '4인방'에 끼지는 못했지만 그들에 버금가는 인물이다. 이제 정말 해서파관은 본격적인 정치적 사건의 성격을 띠기 시작했다.

 

 

그럼 1959년 루산회의에는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

루산회의는 1959년 7월 2일부터 8월 1일까지 열린 중국 공산당 정치국 확대회의와 8기 팔중전회(8월 2~16일)를 가리킨다. 1958년 마오쩌둥 주도로 시작된 대약진운동의 피해가 극심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비판이 쏟아져나왔다.

비판의 타당성을 받아들인 국방부장 펑더화이(彭徳懐)는 ”삼면홍기(三面紅旗), 즉 총노선, 대약진, 인민공사 정책 중 총노선은 옳았지만 좌경 오류와 과장 풍조로 인해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내용의 편지를 마오쩌둥에게 보냈다. 

펑더화이의 비판이 대약진운동의 실패로 실추하고 있는 자신의 권위를 더 떨어뜨릴 것으로 판단한 마오쩌둥은 그의 편지를 정치국 상무위원회에 회람시키며 ‘부르주아의 동요성’이라는 말로 강력히 비판했다. 이후 루산회의에서 펑더화이를 지지했던 참석자들이 입장을 바꾸었고, 결국 펑더화이를 비롯해 황커청 총참모장, 저우샤오저우 후난성 제1서기 등이 해직됐다.

 

그럼 왜 캉성은 왜 '해서파관'을 루산회의와 연관을 지었을까? 야오원위안의 비판 때문이다. 야오원위안은 글에서 "'해서파관'은 해서가 파면되는 과정에 다른 정치적 함의가 있어 문제"라고 지적한다. 우한은 '해서가 백성의 억울함을 대신했다'라고 높이 칭찬했는데, 이는 1950년 대약진운동 실패 이후 우파 기회주의자들이 좌파 무산계급 독재를 공격할 때 쓴 수법이라고 야오원위안이 교묘하게 연결을 한 것이다. 

야오원위안의 이 문장에서 우파 기회주의자들의 의미를 캉성은 더욱 명확하게 밝힌 것이다. 바로 마오쩌둥을 비판했던 무리들을 다시 한번 문제 삼은 것이었다.

그런데 이미 루산회의 이후 펑더화이와 함께 많은 이들이 우파로 몰려 이미 실각하지 않았나? 아쉽게도 당시 저우언라이 역시 이렇게 생각을 했다. 아직 '문화대혁명'의 불길이 어디를 향해 타들어 가고 있는지 깨닫지 못했던 것이다. 

 


사회

더보기
산둥성 웨이하이, 중의약 전승 혁신 발전 시험구로 선정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시(威海市)는 최근 국가중의약관리국이 선정한 ‘전국 1차 국가 중의약 전승 혁신 발전 시험구’에 포함됐다고 6일 밝혔다. 중국이 중의학의 현대화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이다. 사실 의학에서 중의학은 서양의학에 밀려, 찾는 사람이 갈수록 적어지는 상황이다. 서양의학은 바로 상처나 병의 원인을 찾아 제거하거나 보정하는 조치를 취해 그 효과가 직접적이며 즉각적인 반면, 동양의학은 섭생의 약효나 내부 잠력의 격발을 통해 치료를 해 그 효과가 장시간에 걸쳐 나오는 게 특징이다. 자연히 당장 아파서 죽겠는데, 혹은 정말 심하게 다친 경우 중의학을 찾기보다는 서양의학을 찾게 된다. 그러나 동양의학은 병의 근본 원인, 스스로의 치유능력을 극대화해 부작용이 없고 가끔 서양의학이 치료를 포기한 병도 고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국에서도 동·서양 의학의 장점을 모아보자는 시도가 있었지만, 어느 시점부터 한의학은 조금씩 시장에서 도태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 국무원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산하기관인 국가중의약관리국은 중의학의 연구 및 확대와 안전관리 등의 사무를 담당하며, 최근 중국내 54곳을 중의약 전승 혁신 발전 시험구로 선정했다. 웨이하이시는 이번 선

문화

더보기
中취안저우,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객 유치 위한 투 트랙 전략 추진
중국 남동부 푸젠성에 위치한 취안저우(泉州)는 지난 202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역사도시다. 송나라, 원나라 시대 중국의 세계 해양무역 중심지였다. 푸젠성은 타이완을 마주 보고 있는 대륙 지역으로 중국에서 해양 산업이 가장 발전한 곳이기도 하다. 취안저우는 이 푸젠성에서 독특한 문화유산을 보유해 푸젠성 3대 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2일 푸젠성 문화유산국에 따르면 취안저우는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산업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더욱 적극적인 문화유산 보호와 복원을 위해 관련 법과 규정을 제정하고 전문가를 채용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문화유산 보호를 강화하는 동시에 관광산업 증대를 위해 중국내는 물론 해외 관광객 대상의 다양한 홍보 정책을 추진했다. 푸젠성 최초의 도시 커뮤니케이션 센터를 설립하여 언론 매체와 SNS 플랫폼에서 관광 상품을 홍보하는 등 관광 활성화를 위해 온오프라인 관광 마케팅을 펼쳤다. 특히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과 함께 생활하고 교류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유적지의 대부분을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급증하는 관광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