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해상에서 9개위성실은 창쩡우주로켓 첫 발사성공, 다섯번째 우주발사기지 가동시작

 

중국이 한꺼번에 9개의 인공위성을 실은 우주로켓을, 바다위에 뜬 선박에서 발사하는데 성공했다.

 

중국관영 신화통신등 중국매체들은, 중국의 우주개발을 총괄하는 중국항티엔커지그룹(中国航天科技集团)이 지난 15일 오전 9시경 중국황해 (한국서해) 상의 대형선박에서 창쩡 11호 ( 长征十一号 )로켓을 발사해 지구상공 535킬로미터 의 목표궤도에 , 9개의 민간자원관리용 위성 지린 1호 (吉林一号) 들을 안착시키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이 지구상공 535킬로미터에 안착시킨 위성들은, 모두 농업생산관측용과 해양자원 그리고 초원과 삼림자원감시용등 민간분야의 생산활동을 지원하는 위성으로 알려졌다.

 

중국매체들은,  9개의 민간용 위성들을 한꺼번에 싣고 우주에 안착시킨 창쩡 11호는, 해상선박에서 발사돼 임무를 완성한 실제적인 첫번째 발사성공임무인 점에서 그 의미가 작지 않다고 평가했다.

 

중국매체들이 해상선박에서 위성을 발사했다는 기지는 사실, 중국의 5번째 위성발사기지로 개발해온 산동성 연타이시 하이양 ( 烟台海阳)  항구에 위치한 중국동방우주항 (中国东方航天港) 을 말한다.

 

 

 

중국항천국은 지난해 7월 30일, 산동성 옌타이시와 공동으로 해상선박에서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5번째 위성발사기지를 개발한다고 발표하면서, 이 곳을 중국동방우주항으로 명명한 바 있다.

 

 

한편 중국의 우주로켓발사에 타이완당국이 이례적으로 성명을 내 눈길을 끌었다.

 

타이완당국은 중국의 이번 창쩡11호 로켓이 황해(한국서해)에서 발사돼 타이완상공을 가로질러 비행한 것은, 중국의 타이완도발의지가 담겨있다고 특별성명을 발표해, 대륙과 타이완의 양안관계가 최근 불편수준을 넘어 긴장국면에 있음을 반증하기도 했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