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전술 36계 (三十六计) 제4계 "서두루면 진다. 힘을 비축하고 때가 왔을 때 움직여라"

 

중국전술 36계 (三十六计) 제4계 : 이이 따이라오 (以逸待勞  [yǐ yì dài láo] ) : 여유있게 힘을 비축하며 쓸 때를 기다려라.  서두르다 미리 지치면 진다.

 

36계 제 4계의 중국 한자 네글자를 문자 그대로 풀자면, "여유롭게 기다리고 있다가, 힘써서 피로해진 적을 상대해라" 는 뜻이다.

 

으로, 힘과 무력으로 치러야하는 전쟁터에서, 편히 쉬어서 기력이 왕성한 군대가 피로에 지친 적을 물리치는 것은 식은 죽 먹기 일것이다.

 

서두르면 진다는 말이다.  힘이 안되는데 서두르기만 하면 지쳐서 자멸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리고 욕심만 앞서고 실력을 준비하지 않으면 백전백패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또 현대생활에서 응용해 보자면, 어떤 대결이라도, 욕망을 먼저 보이거나 스스로 조급한 나머지 그목표달성을 위해 서두르면 얻기가 어렵다는 뜻이기도 하다. 

 

제 4계의 전략이 나온 중국전쟁의 해당 고사를 살펴보다 보면, 기원전 206년에 유방(劉邦)이 세운 한나라 즉 전한[ (前漢, 또는 서한(西漢)] 때의 고사가 등장한다.

 

오늘날 현대 중국의 민족이름의 기원이 되는 한(漢)나라는,  전한 [ (前漢, 또는 서한(西漢)] 그리고  후한 [ (後漢, 또는 동한(東漢) ] 두개의 한나라로 나뉜다.

 

서한은, 삼국지의 세명의 주인공중 한 명인 유방이 한(漢)나라 를 세웠다가 약 215년만인 서기 9년에 왕망의 신(新)나라의 정변에 망하기 전까지를 일컫는 말이다.

 

동한은, 서한이 망한 이후 16년만인 서기 25년에 신나라에 의해 망한 이전 한나라 왕조의 후예인 유수(劉秀)가 다시 한나라를 세운 한나라를 말한다.

 

36계 제 4계인 이이 따이라오 (以逸待勞  [yǐ yì dài láo] ) 고사는, 후한으로 다시 한나라를 세운 유수가 전한이 망하기 전에,  전한에 대항했던 군벌들과 벌인 전투에서 승리한 고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간단히 풀어보자면, 유수는 전한 말기에 각지에서 한나라를 공격하는 깐수(甘肃)성 군벌이 공격해오자 , 샨시(山西)성의 고지에 위치해 전략적으로 중요한 쉰이 (栒邑 [Xúnyì] 를 휘하장수에게 미리 점령하게 한 뒤 충분히 쉬게 했다.

 

한편 깐수성 군벌은 전한을 빨리 공격하고 싶은 마음에 고지에 위치한 전략거점인 쉰이성을 점령을 앞두고 병사를 충분히 쉬게 하지 않고 진군을 독려해 쉰이성을 공략했다.

 

결과는 충분히 쉬면서 적의 공격에 대비했던 유수의 승리로 돌아갔다. 충분히 쉬고 임을 충전했던 유수의 군대가 , 급한 마음에 지친 상태에서 연이어 성을 공략하던 적을 쉽게 물리칠 수 있었던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이 제 4계의 고사는, 특히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사회의 일상생활이나 비지니스세계에 대입해보면 매우 귀중한 팁을 주는 방책이다.

 

즉, 담판이나 상담을 위한 회합장소에 미리 나가 여유있게 대비하라는 것이다. 

 

상대에게 요구할 것을 차분하게 정리하고, 또 상대의 요구를 미리 헤아리면서 어떻게 응대할 것인가 등등의 전략을 차분하게 정리하며 기다리는 것이다.

 

그러다 상대가 약속시간에 맞추느라 허겁지겁 오거나, 늦게 도착해 미안해 할 때, 자신이 원하는 바를 과감히 던지면, 상대는 미안한 마음에서 라도 혹은 미리 방비하지 못한 죄?로 , 나의 요구나 청을 받아 줄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약속이나 회합장소에 일찍 나가라.

 

이는 시간적인 여유도 의미하지만, 다양한 대안을 미리 미리 준비하라는 뜻도 포함한다.

 

어찌보면 손자병법이라는 게, 무슨 신출귀몰한 방법이 아니라 우리가 잊고 사는 생활의 기본을 깨우치는 것일 수 있다.

 

'미리미리 준비하라' 가 제 4계의 교훈이다.

 

그리고 또 하나 이 제 4계의 고사와 관련해서 , 손자병법의 출판시기와 편찬자에 관한 여러 설도 살펴볼 일이다.

 

손자병법은 기원전  6~5세기경에 있었던 중국 전국 시대의 제(齊)나라 병법가 손자의 이름을 달고 있으나, 당사자인 손자(손무)가 편찬했다 설보다는, 이후 같은 전국시대에 살았던 손빈(孫濱)이 지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그리고 또 하나의 설은,  삼국시대의 조조(曹操,  사후에 위무제 (魏武帝)로 추존됐다) 가 편찬했다는 설 또한 유력하다.

 

그런데 앞에서 본 제 4계 이이 따이라오 (以逸待勞  [yǐ yì dài láo] ) 고사는, 손자와 손빈이 살았던 기원전  6~5세기경의 전국 시대보다 한참 이후인  기원전 206년부터 서기 9년사이에 존재했던 한나라(서한/전한) 때의 고사이다.

 

따라서 36계 안에, 이 제 4계 이이 따이라오 (以逸待勞  [yǐ yì dài láo] ) 고사가 들어 있었다는 얘기는, 손자병법의 36계가  전국시대에는 36계로 완비됐을 수는 없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한나라 (전한과 후한을 합해) 가 망하고 나서, 위(魏)ㆍ촉(蜀)ㆍ오 3국이 분립한 시대에(서기 220~280) 누군가, 즉 조조가 편찬했다는 설이 시대적으로는 맞는 듯하다.

 

그런데 또 중국의 검색엔진 바이두를 찾아보면, 남북조시대 때 하 나 둘 모여진 계책들이 명나라 청나라시대까지 더해지고 수정되면서,  오늘같은 36계 체계를 갖췄다는 설명도 분명히 존재한다.

 

사실 36계의 손자병법은 그 편찬 연도도 중요하겠지만, 손자병법 36계 하나 하나의 책략이 모두 현대인들의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고대부터 현대를 살아오고 있는 우리 인간세상 흥망성쇠 과정의 원인과 결과들을 그대로 담은,  담담한 인간 욕망보고서라 할 것이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