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베이징, 코로나19 감염 증가하자 방역 조치 강화

 

중국 베이징시가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방역 조치 강화에 나섰다.

중국은 코로나 제로 정책을 고집하며 봉쇄를 강화하고, 글로벌 각국은 이런 중국 정책의 여파가 자국 경제 손실로 이어질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중국은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간 고리를 맡고 있다. 원자재를 이용해 중간재를 만드는 역할이다. 중국의 중간재가 제 때 공급되지 않으면 제품 출시가 늦어지고 가격이 오른다.

글로벌 경제는 현재 코로나 등의 여파로 공급망 작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각국이 물가가 치솟는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다.

특히 양적완화 정책으로 막대한 돈을 푼 미국의 경우 물가가 30년만에 최고치를 갱신한 이래 그 기록을 연일 갱신하는 상황이다.

세계의 눈이 베이징의 방역 상황에 쏠리는 이유다.

베이징시 방역 당국은 집단 감염이 발생한 지난달 22일 이후 13일 현재까지 누적 감염자가 1000명에 육박하는 등 확산세가 지속되자 봉쇄식 관리가 이뤄지는 관리통제구역의 범위를 확대했다.

현재 베이징에는 중위험 지역 37곳, 고위험 지역 17곳이 지정돼 있으며 완전 봉쇄돼 관리통제를 받는 건물이 900여 개에 달한다. 관리통제 구역은 대중교통 운행이 중단되며 주민들은 방역과 식료품 공급 등 필수 서비스 인력 이외에 모두 재택근무를 해야 한다.

또 베이징시는 13일부터 15일까지 하이뎬구, 펑타이구 등 12개 구 전체 주민을 대상으로 매일 한 차례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한편, 코로나19 외부 유입을 막기 위한 중국 정부의 입출국 통제도 강화될 전망이다.

중국 공안부 산하 이민관리국은 앞으로 자국민의 불필요한 출국을 엄격히 제한하겠다고 12일 밝혔다. 이에 따라 여권 등 출국을 위해 필요한 각종 증명서 발급이 한층 까다로워져 중국을 떠나고 싶어하는 일부 부유층과 중산층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