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각성년대', 상하이 TV 페스티벌 최우수감독상과 남우주연상 수상

 

 

중국 최고권위의 TV페스티벌인 상하이 드라마축제 (上海电视节)가 올해 27회 바이위란 상 ( 白玉兰 奖) 의 최우수 감독상을, 중국공산당 창당을 선도한 천뚜시우 ( 陈独秀 ) 의 일대기를 드라마한 ' 쥬에싱 니엔다이 ( 觉醒 年代 / 각성 년대) ' 를 연출한 장용신 ( 张永新 ) 감독 에게 수여했다.

 

 

 

그리고 최고남자배우상도, 이 ' 주에싱 니엔다이' 영화에서 주인공 천뚜시우 역할을 연기한 위허웨이 (于和伟, 50 ) 에게 수상됐다.

 

이 영화는 올해 중국공산당 창당( 1921년 7월 ) 백 주년에 맞춰 기획 제작돼,  상영됐다.

 

 

이 영화의 주인공 천뚜시우( 陈独秀 ) 는 1879년 생으로 일본에 유학해 도쿄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귀국해 1919년 일본의 중국침략 21개조를 승인한 당시 중국대총통 위안스카이에 항의한 5.4학생운동을 조직 지휘하고, 1921년 7월에 상하이시에서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를 통해 중국국서기에 선출된 중국 공산당이 초기지도자이다.

 

이번 상하이 TV 페스티벌에서 최우수 드라마는 , 산하이 칭 ( 山海 情)이 차지했다. 중국고

 

 

산하이 칭 ( 山海 情)드라마의 내용은, 지난 1990년대 중국정부가 추진했던 빈곤농촌지역 경제개발정책의 애환과 성과를 극화한 것이다. 

 

주무대는 중국서북부 닝시아 회족 자치구 ( 宁夏回族自治区)의 사막화된 빈논마을로, 이곳의 빈곤을 퇴치하기 위해 남부 푸젠성에서 파견된 농민들과의 협업과정의 간난신고와 화합을 아름답게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펑파이 신원등 중국매체들이 보도했다.

 

 

그리고 중국드라마 최우수 여우 주연상은,  중국 신세대 여성들의 독립과 사랑을 드라마타이즈해 폭발적인 시청율을 기록하고 한국에 까지 널리 소개된 청춘드라마 산쓰얼이 ( 三十而已)의 주인공을 맡았던 동 야오 (童瑶 , 85년생 ) 가 차지했다.

 

동야오는, 일찌감치 베이징 중앙연극학원에 재학중인 17살 때 드라마로 데뷔했으나, 영화배우 장쯔이 ( 章子怡, 79년 생) 와 이미지가 너무 비슷해 오히려 크게 주목받지 못하다가, 지난해 주인공을 맡은 산쓰얼이 ( 三十而已)의 흥행성공으로 대기만성형 톱스타의 자리에 오르게 됐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석탄도시로 유명했던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 경제 관광 도시로 변신에 성공해 중국에서 화제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문화

더보기
[영 베이징] '관광+ 문화' 융합 속에 베이징 곳곳이 반로환동 변신 1.
‘문화유적 속에 열리는 여름 팝음악 콘서트, 젊음이 넘치는 거리마다 즐비한 먹거리와 쇼핑 코너들’ 바로 베이징 시청취와 둥청취의 모습이다. 유적과 새로운 문화활동이 어울리면서 이 두 지역에는 새로운 상권이 형성됐다. 바로 관광과 문화 융합의 결과라는 게 베이징시 당국의 판단이다. 중국 매체들 역시 시의 놀라운 변화를 새롭게 조망하고 나섰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은 앞다퉈 두 지역을 찾아 르뽀를 쓰고 있다. “평일에도 베이징 시청구 중해 다지항과 동성구의 룽푸스(隆福寺) 상권은 많은 방문객을 불러모았다. 다지항의 문화재 보호와 재생, 룽푸스의 노포 브랜드 혁신이 시민과 관광객에게 새로운 소비 경험을 제공했다. 그뿐 아니라, 올여름 열풍을 일으킨 콘서트가 여러 지역의 문화·상업·관광 소비를 크게 끌어올렸다.” 베이징완바오 기사의 한 대목이다. 실제 중국 각 지역이 문화 관광 융합을 통해 ‘환골탈퇴’의 변신을 하고 있다. 베이징시 문화관광국 자원개발처장 장징은 올해 상반기 베이징에서 ‘공연+관광’의 파급 효과가 뚜렷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대형 공연은 102회 열렸고, 매출은 15억 위안(약 2,934억 6,000만 원)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