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2030년 탄소 배출 정점 플랜 공개

 

 

중국이 2060년 '탄소 중립' 이행 계획의 중간 실천 계획을 확정했다.

중국 국무원이 최근 '2030년 전까지 탄소 배출 정점에 도달하기 위한 행동 방안에 관한 통지'를 발표했다.

30년 단위의 실천 행동 계획인 셈이다.

이번 통지는 중국이 2060년 탄소 중립 실현으로 가는 길의 중간 반환점인 2030년 탄소 배출 정점 도달 때까지의 행동 방안을 담았다.

이번 실천계획은 ‘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첨단기술을 통한 에너지 효율 개선’이라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

‘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관련해 중국은 전력 생산에서 석탄 의존도를 낮춰 나가는 한편 석탄발전소의 효율성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의 화력발전 의존도는 지난해 기준으로 70%가 넘는다. 석탄 화력발전은 탄소 배출량이 가장 많은 산업이다.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석탄 발전을 감소는 필연적인 조치다. 

하지만 당장 중국은 석탄 발전을 줄이면서 심각한 전력난을 겪고 있다. 과연 중국이 자신들이 밝힌 계획을 실천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드는 대목이다.

국무원은 신규 화력발전 프로젝트를 엄격히 통제하는 가운데 일부 새로 짓는 화력발전은 국제 선진 수준의 에너지 효율 표준에 반드시 도달하게 하고 노후한 화력발전 시설을 점진적으로 도태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중국은 석탄 의존도를 낮추는 대신 친환경 에너지 생산 시설은 대폭 확충하기로 했다.

석탄 발전 대신 풍력과 태양광 발전을 더 늘인다는 것이다. 

국무원은 2030년까지의 풍력과 태양광을 합친 발전 용량이 12억㎾가 되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이에 따라 향후 10년간 중국에서 풍력과 태양광 발전을 중심으로 한 초대형 친환경 발전 기지 건설이 매우 활발히 진행될 전망이다.

이와 더불어 수력발전 용량도 증설된다. 2025년과 2030년까지 각각 수력발전 용량을 4천만㎾ 안팎씩 늘리겠다는 내용이 이번 통지에 담겼다.

우리 한국과 달리 원자력 발전에도 힘쓴다는 방침이다. 

국무원은 이번 통지를 통해 원전 역시 '적극적이고 안전하며 질서 있게' 발전시켜나가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사실 중국의 이 같은 조치는 한국의 원자력 발전 포기가 얼마나 무의미한 일인지 보여준다.

이웃인 중국과 일본에서 원자력 발전에 힘쓰고 있는데, 중간에 낀 한국만 원자력을 포기하고 있는 것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한국의 원자력 기술은 세계 1위 수준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전인대 업무보고에서 동남부 연해 지방을 중심으로 첨단 3세대 원전 건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면서 2025년까지 원전 설비용량을 2020년 말의 51GW(기가와트)에서 70GW로 늘리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중국이 현재 50여기에 달하는 원자로를 새로 짓고 있거나 짓기로 계획중이어서 수년 안에 원전 운영 규모에서 세계 1위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 산업 부문에서도 큰 변화가 예고됐다. 국무원은 2030년까지 전기·수소·액화천연가스 등 청정에너지를 사용하는 교통수단의 비중이 40%가량이 되게 하겠다고 밝혔다.

작년 중국에서 판매된 차량 중 신에너지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5.7%였는데 이 비중은 더욱 빠르게 높아질 전망이다. 국무원은 지난해 11월 '14·5계획'(14차 5개년 경제계획)이 마무리되는 2025년 자국에서 팔리는 차량 중 20%는 친환경차가 되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