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제 지원 중단에 중국 1월 승용차 판매량 37% 감소

 

 

'34.6%'

올 1월 중국 자동차 판매의 전년 동기 대비 감소폭이다.

중국의 자동차 판매가 급감하고 있다. 그동안 중국은 소비 촉진을 위해 자동차 판매에 각종 세제 지원을 해왔다.

하지만 이 같은 세제 지원이 종료되면서 승용차 판매량이 급감한 것이다.

31일 중국 승용차연석회의의 잠정 집계에 따르면 1월 중국의 승용차 소매 판매는 136만 대로, 전월 대비 37.3% 감소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도 34.6% 줄어든 수치다.

이 중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수소차) 판매는 36만 대로 전년 동기보다 1.8% 증가했으나 전월보다는 43.8% 급감했다.

1월 승용차 판매 감소는 각종 세제 지원책의 종료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취득세 감면과 신에너지차 보조금 지원이 중단되자 소비자들의 자부담이 커지면서 구매 심리가 위축됐다는 분석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코로나19 확산과 봉쇄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으로 타격을 받은 자동차 판매 촉진을 위해 6월부터 12월까지 한시적으로 배기량 2000cc 이하, 판매가격 30만 위안(약 5480만 원) 미만의 소형 자동차 취득세를 50% 감면했다.

또 애초 2021년까지였던 신에너지차 구매 보조금 지원도 작년 말까지 1년 추가 연장했다.

각종 지원책에 힘입어 중국의 승용차 판매량은 작년 6월부터 3개월 연속 30% 안팎의 증가세를 보이며 꾸준히 늘어 작년 한 해 총 2356만3000대가 팔려 전년 대비 9.5% 증가했다.

특히 작년 신에너지차의 판매량은 688만7000대에 달해 전년 대비 93.4% 급증했고, 중국 내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12.9%에서 25.6%로 껑충 뛰었다.

한편 중앙 정부와 달리 일부 지방 정부들은 신에너지차 보조금의 지속적인 지원과 육성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상하이시는 오는 6월까지 보유 중인 승용차를 순수 전기차로 교체하면 1만 위안(약 182만 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29일 발표했다.

저장성도 내연기관차를 신에너지차로 대체할 경우 보조금을 지급하고 2025년까지 연간 120만대의 신에너지차를 생산하겠다는 신에너지차 육성 정책을 최근 발표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