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중국 1~2월 산업용 로봇 생산량이다. 중국이 세계 최대 로봇 생산국으로 거듭나고 있다. 로봇은 미래 노동력이다. 산업화를 넘어서 IT 혁명의 시대 산업 역량은 바로 로봇이다. 생산 로봇은 지치 않고 일하며, 쉬지 않고 일하며 어떤 불평도 하지 않는다. 그저 전기만 있으면 작업을 이어가는 게 로봇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2월 부가가치 생산액 증가가 5.9%를 기록한 가운데 이중 산업용 로봇의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2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집적회로 웨이퍼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6% 늘었다. 이는 중국이 자체 인공지능 기반 대형 모델의 전자, 자동차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의 대규모 응용이 가속화되면서 산업 혁신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중국 매체들은 “연산력 수요 확대가 관련 산업의 빠른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올해 12월 디지털 제품 제조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했고, 서버 생산량은 73% 늘어났다. 아울러 중국의 산업이 친환경적으로 발전하는 긍정적인 흐름도 올해 1~2월 산업 경제 관련 데이터에서 확인됐다고 중국 매체들은 분석했다. 실제 통계에 따르면 같은 기간
‘5.9%’ 중국의 올 1~2월 부가가치 성장율이다. 2개월간의 중국 총생산 증가폭이다. 일단 중국 성장목표인 5% 안팎을 초과달성한 수치여서 주목된다. 중국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성장 목표 달성에 자신하고 있다. 커지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을 이끌겠다는 복안이다. 여기에 남미와 인도, 아세안 등을 중심으로 한 이머징 마켓에 대한 무역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복안도 가지고 실천에 옮기고 있다.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1~2월 중국 경제 성장 현황을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1~2월 중국 규모 이상 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해 지난해 전체 증가율보다 0.1%포인트 빨라졌다. 제조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하여 전체 산업 증가율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그중 장비 제조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해 지난해 전체 증가율보다 2.9%포인트 높아져 산업 생산의 안정적이고 빠른 성장을 강력히 뒷받침했다. 푸링후이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최근 국무원 신문판공실 기자회견에서 “올해 들어 신형 공업화 추진, 첨단 제조업 확대 및 강화, 전통 산업의
‘5조 2,619억 위안’ 한화로 약 1,062조 4,302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2월 고정자산 투자(농가제외) 총액이다. 전년동기 보다 4% 이상 늘었다. 고정자산 투자가 늘어난 것은 중국 당국이 연초부터 구 설비를 새 설비로 교체하는 데 지원금을 주는 ‘이구환신’(옛 것을 새 것으로 바꾸도록 지원하는 중국의 재정정책) 정책을 펼치는 덕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중국의 고정자산투자(농가 제외)는 5조 2,619억 위안(약 1,062조 4,30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하며 지난해 전체보다 0.9%p 상승했다. 부문별로 보면, 인프라 투자는 5.6% 증가, 제조업 투자는 9.0% 증가, 부동산 개발 투자는 9.8% 감소했다. 전국 신규 상업용 주택 판매 면적은 1억 746만㎡로 전년 대비 5.1% 감소했으며, 감소폭은 지난해 전체보다 7.8%p 축소되었다. 신규 상업용 주택 판매액은 1조 259억 위안(약 207조 1,394억 원)으로 2.6% 감소했으며, 감소폭은 14.5%p 축소되었다. 산업별로 보면, 1차 산업 투자는 12.2%, 2차 산업 투자는 11.4%, 3차 산업 투자는 0.7%
‘8조 3,731억 위안’ 한화로 약 1,690조 6,126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2월 사회 소비총액이다. 전년 동기보다 4% 가량 늘어난 수치다. 미국의 관세 대전에 맞서 중국 당국이 내수 확대를 경제 목표로 하는 있는 가운데 연초 중국 소비가 안정적 성장세를 보여줘 주목된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올 1~2월 경제운영 데이터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1~2월 전국 사회소비품 소매총액은 8조 3,731억 위안(약 1,690조 6,12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하며 지난해 전체보다 0.5%p 상승했다. 지역별로 보면 도시 소비품 소매액은 3.8%, 농촌 소비품 소매액은 4.6% 증가했다. 소비 유형별로 보면 상품 소매액은 3.9%, 외식업 매출액은 4.3% 증가했다. 주요 품목별로 보면, 식품과 스포츠·엔터테인먼트 용품은 각각 11.5%, 25.0% 증가했다. 노후 제품 교체 정책 효과가 지속되며, 통신기기, 가구, 가전, 사무용품 판매액은 각각 26.2%, 11.7%, 10.9%, 21.8% 증가했다. 전국 온라인 소매총액은 2조 2,763억 위안(약 459조 6,077억
‘1,783억 위안’ 한화로 약 36조 54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 이동통신의 대표주자인 차이나모바일의 지난 2024년 경영실적이다. 전년동기 대비 3% 이상 성장한 수치다. 이동통신은 대표적인 캐시카우 산업이다. 이용자들이 납부하는 이용료가 매달 꾸준히 들어오는 게 이동통신 산업의 매력이다. 차이나모바일은 딥시크와 결합해 본격적인 AI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2025년 사업구상도 발표했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차이나모바일이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총매출은 1조 400억 위안(약 210조 2,984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3.12% 증가했으며, 총이익은 1,783억 위안(약 36조 540억 원)으로 4.61% 증가했다. 모회사 귀속 순이익은 1,383억 위안(약 27조 9,656억 원)으로 전년 대비 5.01% 증가했다. 이 중 통신 서비스 매출은 8,895억 위안(약 179조 8,657억 원)으로 3.0%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1,384억 위안(약 27조 9,858억 원)으로 5.0%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차이나모바일 최고경영자(CEO) 허뱌오는 오늘 저녁 열린 2024년
‘7,434억kWh’ 지난 2월 중국의 사회 전력 소비량이다. 전년 동기 대비 9%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오늘날 전기는 인간과 기계의 모든 활동을 좌우한다. 전기가 그만큼 많이 쓰였다는 것은 사회 활동이 그만큼 늘었다는 의미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에너지국은 최근 2월 전국 사회 전력 소비량 등의 데이터를 발표했다.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월 전국 사회 전력 소비량은 7,434억kWh로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했다. 산업별 전력 소비를 보면, 1차 산업 전력 소비량은 98억kWh로 10.2% 증가했으며, 2차 산업 전력 소비량은 4,624억kWh로 12.4% 증가했다. 3차 산업 전력 소비량은 1,420억kWh로 9.7% 증가했으며, 도시 및 농촌 가정용 전력 소비량은 1,292억kWh로 4.2% 감소했다. 올해 1월부터 2월까지의 전국 사회 전력 소비량은 총 1조 5,564억kWh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이 가운데 규모 이상 산업의 발전량은 1조 4,921억kWh를 기록했다. 산업별 전력 소비를 살펴보면, 1차 산업 전력 소비량은 208억kWh로 8.2% 증가했으며, 2차 산업 전력 소비량은 9,636억kWh로
‘417조 2,900억 위안’ 한화로 약 8경 3,812조 가량의 거액이다. 중국의 올 2월말 현재 사회 융자, 즉 대출 잔액이다. 전년보다 8% 이상 훌쩍 늘어난 수치다. 코로나 이후 전세계적으로 대출 규모가 늘고 있다. 중국 역시 예외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인민은행은 최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025년 2월 사회융자규모 잔액 통계 보고서를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2025년 2월 말 기준 사회융자규모 잔액은 417조 2,900억 위안(약 8경 3,812조)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했다. 그중 실물 경제에 공급된 위안화 대출 잔액은 258조 3,600억 위안(약 5경 7,314조 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7.1% 증가한 것이다. 실물 경제에 공급된 외화 대출 잔액은 1조 2,200억 위안이었다. 한화는 약 245조 370억 원에 달한다. 약 30.9% 감소한 수치다. 또한, 신탁 대출 잔액은 11억 2,500억 위안(약 2,259억 5,625만 원)으로 0.3% 증가했다. 신탁 대출 잔액은 4조 3,300억 위안(약 869조 6,805억 원)으로 7.4% 늘었다. 미할인 은행인수어음 잔액은 2
‘35조 위안’ 한화로 약 6,999조 6,500억 원 가량이다. 지난 2024년 중국의 디지털산업 총매출액이다. 전년보다 6% 가까이 성장한 수치다. 중국의 ‘디지털 굴기’가 미국의 강력한 견제에도 조금도 굴하지 않고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최근 중국 당국은 이 같은 내용의 지난 2024년 디지털 산업 발전현황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한 해 디지털 산업의 핵심 지표 중 90% 이상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디지털 산업의 총매출은 35조 위안(약 6,999조 6,5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 6%에 가까운 것으로 중국의 성장 목표를 초과한 수치다. 이 중 제조업과 서비스업 부문은 각각 3.8% 및 8.0% 증가했다. 전체 산업에서의 비중은 각각 59.6%와 40.4%를 차지했다. 또 디지털 산업의 총이익은 2.7조 위안에 달했다. 한화로는 약 539조 9,730억 원에 달한다. 총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3.5% 늘었다. 산업에 직접 종사하는 인원 수는 2,060만 명으로, 전년과 거의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중국의 디지털 산업도 ‘고용없는 증가’의 단계에 진입했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
'8조 3,731억 위안' 한화로 약 1,674조 5,362억 원 가량이다. 지난 1~2월 중국의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이다. 전년보다 무려 40% 급증한 수치다. 중국은 미국발 글로벌 관세전쟁으로 국제 경기가 갈수록 불투명해지자, 내수 시장 확대를 경제 성장의 주 원동력을 만들기 위해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펼치고 있다. 1~2월은 무엇보다 중국의 설인 춘제 연휴가 있어, 중국 당국의 소비 진작책이 적극 펼쳐졌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올 1~2월 소비재 소매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된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1~2월 사회소비재 소매총액은 8조 3,73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성장률보다 0.5%p 높은 수준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 시장이 꾸준히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줬다"고 평했다. 운영 단위 소재지별로 보면, 도시 소비재 소매액은 7조 2,462억 위안(약 1,449조 1,675억 원)으로 3.8% 증가했다. 농촌 소비재 소매액은 1조 1,269억 위안(약 225조 3,687억 원)으로 4.6% 늘었다. 소비 유형별로는 상품 소매액이 7조 3,939억 위안
지난 2024년말 현재 중국의 5G 기지국 수만 425만 개를 훌쩍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또 5G 가상 사설망은 6만개에 육박하고 있다. 이용중인 사물인터넷 단말기 숫자만 26억 개를 훌쩍 넘어섰다. 중국의 디지털 산업은 중동부 지역이 전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디지털 산업이 동부 연안을 중심으로 집중돼 있는 것이다. 소위 중국의 연안을 끼고 ‘중국의 디지털 밸트’가 형성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중국 디지털 산업 지역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중국 동부 지역의 디지털 산업 매출은 전년 대비 6.5% 증가하여, 전국 비중의 73.6%를 차지했다. 중부, 서부, 동북 지역의 매출 증가율은 각각 4.2%, 0.8%, 2.5%를 기록했다. 광둥, 장쑤, 베이징, 저장, 상하이, 산둥, 쓰촨, 푸젠, 안후이, 후베이 등 10개 성(省)의 디지털 산업 매출이 전국의 81.5%를 차지했으며, 전국 디지털 산업 매출 증가에 대한 기여율은 99.5%에 달했다. 또한, 정보통신, 인공지능, 신형 디스플레이, 집적회로 등의 디지털 산업 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