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업정보화부에 따르면 올해 1~10월 중국 인터넷 사업의 수입 증가율이 크게 증가했다. 이윤 총액은 두 자릿수 증가율을 유지했으며 산업은 전반적으로 가속화된 성장 추세를 보였다. 10월 기준 중국 규모이상 인터넷 관련 서비스 기업의 인터넷 사업 수입은 1조 403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했다. 실현한 이윤 총액은 1074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성장했으며 영업 비용은 9.8% 증가했다. 또 10월 기준 생활 서비스 위주 플랫폼 기업의 인터넷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2% 증가했으며 인터넷 판매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는 기업의 인터넷 사업 수입은 33.5% 성장했다. 다이웨이 중국인터넷학회 부사무총장은 “지속적인 영업이익 증가로 인해 인터넷 기업은 인공지능, 신에너지, 지능형 커넥티드 카 등 첨단 핵심 기술 혁신에 투자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5조 3445억3000만 위안' 한화로 979조4385억6780만 원이다. 중국의 올 1~10월간 서비스 수출입액 총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9%가까이 성장했다. 중국 경제 성장 목표를 훨씬 초과하는 수치다. 중국 경기는 침체냐, 회복이냐 기로에 서 있는데, 서비스 산업만 보면 완전한 회복세를 보여주는 것이다. 1일 중국 상무부가 올해 1~10월 중국의 서비스 무역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 기간 중국의 서비스 수출입 총액은 5조 3445억3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 성장했다. 서비스 수출은 2조 1826억7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 감소했으며, 서비스 수입은 3조 1618억6000만 위안으로 23.5% 성장했다. 서비스 무역 적자는 9791억9000만 위안이었다. 서비스 부문별로 살펴보면 지식밀집형 서비스 무역은 성장세를 유지했다. 중국의 서비스 산업 가운데 지식밀집형 서비스 무역의 성장세는 중국 산업이 고도화 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방증이다. 중국은 산업 생태계에서 실천 단계인 제조에서 헤드 단계인 설계와 기획 단계까지 두루 장악하려 추구하고 있다. 특히 IT분야에서 중국은 놀라운 성공 결과를 도출해내고 있다. 인터넷…
'0.1% 상승' 중국의 지난 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사실상 제자리 걸음을 하면서 50 포인트 미만, 49%포인트에 머물렀다. 이 지수는 50을 기준으로 이상이면 경기 상승, 미만이면 경기 하락 전망을 하는 이들이 많다는 의미다. 중국은 올 3월 이후 한 차례를 빼고는 이 지수가 모두 50 미만인 수준이다. 중국 경기에 대한 우려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올 들어 중국 경제관련 지표들은 긍정과 부정적인 지표들이 동시에 나오는 상황이다. 중국 경기가 침체냐, 회복이냐의 갈림길에서 1년여를 보내고 있는 셈이다. 30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1월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4%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10월 이어 기준치 50 아래로 떨어지면서 경기 수축 국면이 이어졌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PMI는 50.5%로 전월보다 0.2%포인트 하락했고, 중견기업 PMI는 48.8%로 전월보다 0.1%포인트 상증했다. 중소기업 PMI는 47.8%로 전월 대비 0.1% 하락했다. 제조업 PMI를 구성하는 5개 하위지수 중 생산지수, 공급업체 납기지수는 50보다 높은 반면 신규주문지수, 원자재재고지수, 직원지수는 50보다…
'94% 성장' 100% 가까히 성장한 셈이다. 미국 유럽 등 선진 경제에서는 상상이 안가는 규모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국가 성장이 3%대에 머무는 상황이다. 그런데 100% 성장이라니. 무시무시한 속도다. 더욱 무서운 것은 이게 바로 세계 제 2위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중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라는 점이다. 중국의 전자상거래 업체이자 최대 공동구매 플랫폼인 핀둬둬(拼多多)의 올 3분기 경영 실적이다. 핀둬둬가 최근 발표한 3분기 재무 보고서에 다르면 3분기 총 영업수입은 688억4040만 위안을 기록했다. 한화로 약 12조 450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94%에 달한다. 시장 전망치인 548억7000만 위안을 대폭 넘어선 것이다. 중국 소비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그 축을 변경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오프라인 소비 증가규모는 사실 제자리 걸음을 하는 중이다. 중국 경제에 대한 회의론과 긍정론이 현재 공존하는 이유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 탓인지, 아쉽게도 주가는 소폭의 상승세를 시현하는 데 그치고 있다. 핀둬둬 보통주 주주에 귀속되는 순이익은 155억37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살펴
중국물류구매연합회가 올해 1~10월 중국 물류 운영 데이터를 28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1~10월 중국 전역의 사회 물류 총액은 278조 3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성장했다. 증가율은 1~9월보다 0.1포인트 높아졌다. 10월에만 5.1% 성장했으며 9월 대비로는 0.3포인트 상승했다. 중국중앙TV(CCTV)는 해당 데이터를 인용해 1~10월 중국 물류의 전반적인 운영이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추세를 보였다고 보도했다. 특히 장비 제조 등 기초 분야가 지속적으로 버팀목 역할을 하면서 공업품 물류 회복세가 공고해졌다고 분석했다. 10월 중국의 장비 제조 물류 총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전월 대비 0.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3개월 연속 상승한 것이며 전체 공업품 물류 총액에 대한 기여율은 40%를 초과했다. 소비 측면에서 살펴보면 오프라인 소비 상황이 전반적으로 회복되면서 음식, 숙박, 소매 등 소비자 물류 수요가 지속적으로 회복됐다. 10월 중국 요식업 관련 물류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17% 이상 증가했으며 성장률은 9월보다 3.3포인트 높아 2개월 연속 증가했다.
'- 7.8%' 지난 1~10월 중국 공업기업의 이윤 증가율이다. 마이너스, 즉 뒷걸음질 쳤다. 중국 경제가 갈림길에 섰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숫자다. 본래 중국 경제에서 마이너스는 코로나19 팬데믹 때 등장했지만, 지난해 하반기 중국 당국이 '위드 코로나' 정책을 선택하면서 정부 발표에서 완전히 사라졌었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짙어진 데다 중국 부동산 경기가 극도로 악화한 가운데 경기가 디플레이션 조짐을 보이면서 중국 경제의 침체 우려도 커졌다. 디플레이션은 소비가 위축되면서 기업 생산품이 팔리지 않는 경기 침체의 악순환을 의미한다. 기업 이익이 악화하면서 다시 생산량과 비용을 줄이고 줄어든 가계 소득에 소비는 더욱 줄어드는 것이 바로 디플레이션의 악순환 고리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27일 공업기업 순익 실적을 발표했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0개월간 전국 규모이상 공업 기업의 이윤이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월 감소폭보다 1.2%포인트 줄었고, 올해 3월부터 매달 이익 감소폭이 줄어들고 있다. 이 중 지정 규모이상 공업 기업의 이익은 10월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해 3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달성했고,…
중국 주요 도시들의 수출 물량은 중국 전체 경제의 동향을 보여주는 이정표다. 최근 올 1~10월 하얼빈 수출입 총액이 공개됐는데 전년 동기 대비 15% 가까이 늘었다. 이는 중국 전체 경제 성장 목표인 5% 전후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 같은 성적은 세계 각국이 우크라이나와 이스라엘 등 두 개의 전쟁 탓에 짙어진 경제 불확실성에서 허덕이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24일 중국 하얼빈 세관에 따르면 올해 1~10월 중국 헤이룽장성의 화물 무역 수출입 총액은 2419억4000만 위안(약 44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4.5% 증가했다. 이는 수출입 증가율 중국내 5위로 같은 기간 중국 전체 증가율보다 14.47포인트 높았다. 그 중 수출은 598.6억 위안으로 46.5% 증가했으며 수입은 1820.8억 위안으로 6.8% 증가했다. 1~10월 헤이룽장성의 일반 무역 수출입은 2048.1억 위안으로 12.2% 증가하여 성 전체 대외 무역 총액의 84.7%를 차지했다. 국경 소액 무역 수출입은 253.5억 위안으로 23.9% 증가했으며 성 전체 대외 무역 총액의 9.7%를 차지했다. 가공 무역 수출입은 71.6억 위안으로 12.1% 증가했으며 성 전
'3327만7000대' 지난 9월 중국에서 생산된 스마트폰 숫자다. 전년 동기 대비 59.0% 늘었다. 5G 폰의 출하량 증가가 전체 증가량을 견인했다. 중국의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는 그만큼 소비도 늘어날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무엇보다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는 중국의 모바일 인구의 증가를 의미한다. 이번 중국 스마트폰 증가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중국의 5G통신망 구축 사업 덕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22일 중국정보통신연구원(中国信息通信研究院) 홈페이지에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중국내 휴대폰 출하량은 총 3327만7000대로 전년 동월 대비 59.0% 증가했다. 이 중 5G 휴대폰은 2871만7000대로 전년 동월 대비 90.1% 증가해 같은 기간 휴대폰 출하량의 86.3%를 차지했다. 또 중국 브랜드 휴대폰 출하량은 2494만6000대로 전년 동월 대비 36.1% 증가해 같은 기간 휴대폰 출하량의 75.0%를 차지했다. 9월 판매 스마트폰은 전년 동월 대비 33.3% 증가해 같은 기간 출시된 휴대폰 신규 모델 수의 47.6%를 차지했다. 출하량은 3193만4000대로 전년 동월 대비 60.9% 증가해 같은 기간 휴대폰 출하량의 96.0%
'6.9%' 올 1~10월 중국의 사물인터넷을 위한 통신산업 수입의 전년 동기 증가폭이다. 중국의 성장 목표인 5% 전후를 2%포인트 가까이 앞서고 있다. 통신은 센서산업과 함께 미래 산업의 가장 중요한 핵심 분야다. 소위 사물인터넷을 가능하도록 해 IT기술의 공업화를 가능하게 한다. IT기술의 공업화는 '4차 산업 혁명'의 핵심이다. 소위 사물 인터넷이라는 통신시스템을 구축해 공장의 모든 제조 과정, 물류 과정을 자동화하고 사람이 하듯 순간적인 이상에 대응하도록 하는 게 바로 제조혁명,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유럽에서는 독일이 가장 앞섰고, 아시아에서는 한국이 주변국을 선도하고 있다. 중국도 이 같은 4차 혁명에 주류로 활약하고 있다. 글로벌 사회에서 가장 가성비 좋은 통신 설비를 제조해 판매하고 있다. 중국의 이 같은 통신 제조산업 덕에 글로벌 IT 산업 혁명이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다. 21일 중국 공업정부화부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첫 해인 올해 1~10월 중국 통신산업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었다. 5G, 기가비트 네트워크, 사물인터넷 및 기타 네트워크 인프라 건설이 가속화되고 사용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1~10월 중국 통
트럭은 철도와 함께 육지 운송의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꼽힌다. 철도를 통해 막대한 물동량이 이동한다고 해도 출발역까지 화물을 나르고, 도착역에서 화물을 실어 필요한 곳까지 나를 때 트럭이 이용된다. 결국 철도와 트럭의 이동량, 트럭의 생산 판매량은 육지 물동량의 변화와 대단히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중국의 트럭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70% 가까이 늘었다. 중국 트럭 수요가 그만큼 늘었다는 것은 중국 물동량의 증가가 그만큼 많았졌다는 의미다. 중국의 경기 회복을 기대케하는 '일엽지추'다. 21일 중국 자동차공업협회가 발표한 생산 및 판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0월 중장비 트럭의 판매량은 8.1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68.5% 증가했으며 '판매량 동기 대비 9년 연속 증가'를 실현했다. 중국중기(中国重汽)의 10월 중장비 트럭 판매량은 1만8513대로 전년 동기 대비 48.1% 증가했으며 판매량 1위를 차지했다. 중국중기의 현재 누적 판매량은 20만 대 이상이다. 이치(一汽)의 10월 중장비 트럭 판매량은 1만6355대로 전년 동기 대비 61.7% 증가했으며 판매량 2위에 올랐다. 둥펑자동차(东风汽车)의 10월 중장비 트럭 판매량은 1만4186대로 전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