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인 생각

더보기

한자 명상

더보기

만화중국어

더보기

한시

더보기

기획리포트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경영의 지혜

더보기

경영의 지혜 - ‘난득호도’: 바보 되기가 힘들다

본래 똑똑하기가 쉽다. 아니 똑똑한 척 하기는 쉽다. 진실은 누구나 똑똑한 척을 한다. “모두가 선생이 되려해 싸움이 난다.” 천하의 스승인 공자의 말이다. 똑똑한 참모는 좋은 계책은 내놓지만, 슬기로운 참모는 주군이 좋은 계책을 내도록 한다. 그러면서도 때론 자신의 가치를 분명히 알도록 한다. 슬기로운 참모는 그래서 다른 이의 질시를 받지 않는다. 전국책 제책편에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있다. 제나라에는 추기(鄒忌)와 전기(田忌)라는 두 사람이 문무 두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었다. 하지만 둘은 서로 사이가 나빴다. 전기는 문에도 뛰어났지만 무에도 뛰어나 추기가 질시를 했다. 그러던 어느날 추기가 제나라의 재상이 됐다. 추기의 가신 가운데 한 명이 꾀를 냈다. “아니 왜 왕에게 위나라를 치자고 주장하지 않습니까? 전쟁에서 이기면 재상께서 세우신 계획 덕이고 지면 전쟁에 나서 제대로 싸우지 못한 전기 탓을 몰아 전기를 곤혹스럽게 할 수 있습니다.” 이야기를 들은 추기가 그럴 듯하다 싶어 왕에게 위나라 침공 계획을 보고 했다. 왕은 추기의 조언에 따라 위나라를 침공했다. 전기가 장군이 돼 선봉에 섰다. 그런데 전기의 재주는 추기의 기대 이상이었다. 백전백승의


신중국인물열전

더보기

중국역사100장면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