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내 항공사들 중국 노선 대폭 증편

 

한중 노선 정상화에 따라 국내 항공사들이 본격적으로 중국 노선 운항 확대에 나섰다.

한국과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한중 노선 운항을 확대하기로 합의하면서 항공사들의 증편과 운항 재개에도 속도가 붙었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달부터 중국 노선 운항을 순차적으로 확대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50% 수준까지 회복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아시아나항공은 기존 9개(주 10회)인 중국 노선을 17개 노선 주 89회까지 확대한다.

앞서 지난 6일에는 인천-선전 노선 등을 증편하고, 코로나 사태로 3년간 운항을 중단했던 광저우, 칭다오, 시안, 톈진 노선 운항을 재개했다.

하계 일정이 적용되는 이달 26일부터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주요 노선 운항편을 대거 늘린다.

김포-상하이는 주 7회로 운항 재개하고, 인천~옌지·선전·톈진·하얼빈·항저우·청두·시안 노선 운항도 확대한다.

다음 달 17일부터는 인천-다롄을 주 4회, 김포-베이징을 주 7회, 인천-창사를 주 4회 운항한다.

대한항공과 저비용항공사(LCC)도 하계 일정에 맞춰 중국 노선 운항을 대폭 늘릴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이달 중국 노선 운항을 기존 주 9회에서 주 26회로 확대한다고 지난 8일 밝혔다.

오는 17일부터 인천-시안, 19일부터 인천-베이징 노선 운항을 재개한다. 베이징은 주 4회, 시안은 주 1회 운항한다.

광저우 노선은 12일부터 주 2회, 상하이는 20일부터 매일, 칭다오는 23일부터 주 2회로 증편된다. 선양과 다롄 노선 운항은 오는 19일부터 각각 주 4회, 3회로 늘어난다.


사회

더보기
중국 최고인민법원, 직장내 성희롱 근절 지침 발표
"여성이 천하의 반이다." 바로 마오쩌둥의 말이다. 중국 공산당은 이렇게 남녀평등을 앞세워 많은 여성들을 혁명의 최전선으로 내몰았다. 그 덕분에 신중국 건설 초기 여성 혁명가들이 개국 공신 서열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남성 위주의 중국 전통이 되살아났다. 특히 시진핑 정권 출범이래 남성중심주의는 더욱 강화하는 모습이다. 매 정권마다 여성 부총리가 있었지만, 최근 출범한 내각에서는 여성의 모습을 찾기 힘들다. 올해 여성의 날을 맞아 중국 당국이 직장내 성희롱 근절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내놓았다. 역대 처음이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최고인민법원이 인력자원사회보장부 등 5개 정부 부처와 공동 발표한 이 지침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거나 직장내 성희롱 방지 시스템을 세우는 데 참고로 활용할 수 있다. SCMP는 이번 지침이 중국 민법과 올해 1월 1일 시행된 개정 여성권익보호법 등의 성희롱 관련 조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여성 보호를 강화했다고 전했다. 또 많은 정부 기구가 공동으로 발표한 지침인 만큼 실질적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중국의 '미투'(Me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