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나타지마동뇌해 인기 지속돼 60억 위안 기록 세우나

 

 

올 중국의 춘절 연휴 영화 매출은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 3일 15시 30분 기준으로 2025년 춘절 연휴(1월 28일~2월 4일) 총 박스오피스(사전 예매 포함)가 80억 위안(약 1조 5,975억 원)을 돌파했다.

과연 누가 이 기록 갱신의 최대 공로자일까?

 

중국에서 올 춘절 연휴에는 대작 영화들이 대거 개봉했다.

총 6편 중 5편이 높은 평점과 흥행 성적을 거둔 IP 시리즈 영화였다. 사전 예매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던 <사조영웅전: 협지대자(射雕英雄传:侠之大者)>였다.

하지만 개봉 이후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하며, 현재까지 5억 위안(약 998억 4,500만 원) 이상의 박스오피스를 기록하며 4위를 차지했다.

 

정작 춘절 연휴 박스오피스 1~3위는 <나타지마동뇌해(哪吒之魔童闹海)>, <탐정당 1900(唐探1900)>, <봉신 2부: 전화서기(封神第二部:战火西岐)> 등이 차지했다.

 

특히 <나타지마동뇌해>는 독보적인 흥행기록을 선보였다. 현재까지 38억 위안 (약 7,588억 2,200만 원)이상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4년 연간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던 <열라군탕(热辣滚烫)>의 34억 위안(약 6,789억 4,600만 원)을 훌쩍 넘는 수치다.

이어 <탐정당 3(唐人街探案3)>의 35억 위안(약 6,989억 1,500만 원)을 기록했다.

 

등탑 AI 박스오피스 예측에 따르면, <나타지마동뇌해>의 최종 박스오피스는 60억 위안(약 1조 1,981억 원)까지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중국 영화 역사상 최다 박스오피스 기록이다.

만롄증권(万联证券)의 분석 보고서는 <나타지마동뇌해>의 박스오피스를 42억 위안(약 8,386억 9,800만 원)으로 예측했으며, 마오옌 전문판에서는 38억~50억 위안의 박스오피스 범위를 제시했다.

 

영화관 상영 회차에서도 <나타지마동뇌해>가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등탑 전문판 데이터에 따르면, 2월 3일 16시 25분 기준으로 <나타지마동뇌해>의 총 상영 횟수는 150.9만 회였으며, <탐정당 1900>은 99.4만 회, <봉신 2부: 전화서기>는 53.2만 회를 기록했다.

 

반면, 춘절 연휴 개봉작 중 최하위를 기록한 <교룡행동(蛟龙行动)>은 총 25만 회 상영되었으며, 박스오피스는 3억 위안(약 599억 700만 원) 미만에 머물렀다. 해당 영화의 주요 제작사는 보나필름(博纳影业, 001330.SZ)이다.

 

<나타지마동뇌해>는 제작에 5년이 걸렸다. 제작자 류원장은 인터뷰에서 “1편과 비교했을 때 <나타2>의 등장인물 수는 3배에 달하며, 특수 효과 장면 수도 전작을 훨씬 초과했다. 1편의 총 컷 수가 1,800개였던 반면, 2편은 2,400개 컷 중 1,900개 이상이 특수 효과 장면으로 구성되었다”고 설명했다.

등장 캐릭터가 300명 이상으로 늘어났으며, 이들 캐릭터는 1편의 자산을 재사용한 것이 아니라 새롭게 제작되었다.

 

중국 춘절 연휴는 영화 산업에 가장 큰 시장이 열리는 기간이지만, 그만큼 경쟁이 치열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지난 2024년 춘절 연휴에는 <홍탄선생(红毯先生)>, <우리 함께 태양을 흔들자(我们一起摇太阳)> 등 일부 영화가 개봉을 철회했으며, <파전(破战)>은 극장 흥행 부진으로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2025년 춘절 연휴에는 대부분이 성공적 개막을했다. 등탑 전문판 데이터 분석가 천진(陈晋)은 “2013년 이후 춘절 연휴 박스오피스는 7억 위안(약 1,397억 8,300만 원)에서 80억 위안(약 1조 5,975억 원)까지 성장하며, 중국 영화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기간이 되었다. 중국 영화 역사상 30억 위안(약 5,990억 7,000만 원) 이상의 박스오피스를 기록한 22편의 영화 중 절반이 춘절 연휴 개봉작이었다”며 춘절 연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만롄증권은 2025년 춘절 연휴 총 박스오피스가 136억 위안(약 2조 7,157억 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카이위안증권(开源证券)은 85억 위안(약 1조 6,973억 원)(전년 대비 6.7% 증가)으로 예측했다. 궈타이쥔안(国泰君安)은 83억~85억 위안으로 예상하며 역사적 신기록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춘절 연휴를 넘어, 2025년 2월 3일 16시 45분 기준으로 2025년 연간 박스오피스(사전 예매 포함)가 100억 위안을 돌파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