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5%로 집계됐다.
중국이 코로나 봉쇄 정책을 버리고 위드 코로나 정책으로 전환한 뒤 경제가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이다.
중국은 올해 5% 전후를 연간 성장 목표로 하고 있는데 출발부터 '녹색등'이 켜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8일 중국의 1분기 GDP가 작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28조 4997억 위안(약 5460조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1차산업 3.7%, 2차산업 3.3%, 3차산업 5.4% 각각 성장했다.
1분기 소매판매는 11조 4922억 위안(약 2201조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 특히 3월 한 달 간의 소매판매는 10.6%로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했다.
소매 판매는 중국 내수 경기의 가늠자로, 향후 중국 경제의 회복세에 탄력이 붙을 것이란 전망을 낳고 있다.
1분기 고정자산 투자는 10조 7282억 위안(약 2054조 원)으로 5.1% 늘어났다.
1분기 전체 무역규모는 9조 8877억 위안(약 1893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 가운데 수출액이 5조 6484억 위안(약 1081조 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8.4% 늘어났다.
특히 3월 한 달 간의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4% 증가해 수출이 전체 무역을 견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수입액은 1분기에 0.2%, 3월에는 6.1% 각각 증가하는 데 그쳤다.
1분기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3% 올라 안정을 유지했으나 식품 가격 상승률은 2.9%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취업 상황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1분기 도시실업률은 5.5%로 지난해 4분기에 비해서는 0.1% 포인트 낮았고 3월 한달간의 도시실업률은 5.3%로 1분기 전체보다 낮았다.
1분기 주민 1인당 소득은 1만870위안(약 208만 원)으로 명목상 5.1% 늘었고 도시주민은 4.0%, 농촌주민은 6.1%가 각각 증가했다.
국가통계국은 "올해 1분기의 4.5% 성장은 지난해 1분기 4.8% 이후 1년만에 4% 성장률을 회복한 것"이라며 "코로나19 방역 상황이 안정국면에 들어가면서 생산, 수요, 취업, 물가, 주민소득 등이 안정적으로 유지됐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고강도 '제로 코로나' 정책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내외 악재 속에 3.0%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