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만화 중국어] 喝“口水” “침” 마셔

 

중국어에는 여러가지 뜻이 있는 단어가 있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 쓰인 말인지 꼭 확인해야 한다! 

 

老师,我查了词典,“口水”是口里流出来的东西,对吗?

Lǎoshī ,wǒ chá le cídiǎn ,“kǒushuǐ ”shì kǒu lǐ liú chūlái de dōngxi ,duì ma ?

선생님, 제가 사전을 찾아봤어요. “口水(침)”은 입안에서 흘러나오는 것 맞죠?

 

对啊,有点儿恶心。

Duì a ,yǒudiǎner ěxīn.

맞아요, 속이 매슥매슥하네요. 

 

那我就更不明白了,中国朋友很不礼貌。

Nà wǒ jiù gèng bù míngbái le ,Zhōngguó péngyou hěn bù lǐmào.

그럼 더 이해가 안돼요. 제 중국인 친구들은 정말 무례해요.

 

因为我的中国朋友经常对我说:“喝口水!”

Yīnwèi wǒ de zhōngguó péngyou jīngcháng duì wǒ shuō :“hē kǒu shuǐ !”

왜냐면 중국친구들이 저한테 이런말을 자주 하거든요. “침(물 좀) 마셔!”

 

*이것은 전형적인 歧义句이다. 歧义句는 두가지 다른 의미로 이해할 수 있는 말을 뜻한다.

친구들이 말할 때 잘 들어보면 "口"의 성조로 두 가지 의미 중 어떤 뜻인지 판단할 수 있겠으나 마리리는 아직 중국어 내공이 부족하여 이런 오해가 생겼다.

口水를 붙여서 읽으면 "침, 타액"이 맞다. 이때 중국어의 발음 규칙에 따라 두 개의 3성이 연달아 있을 때는 앞에 글자를 2성으로 바꿔 발음해야 한다.

즉 마리리가 이해한대로 “침 좀 먹어”라는 뜻이 되려면 "喝(稍有停顿)口水"는 [hē kóu shuǐ]로 발음해야 한다. 하지만 친구들이 말하고자 하는 다른 의미는 "물 좀 마셔"인데, 이 때는 "喝口(稍有停顿)水"를 [hē kǒu/ shuǐ = 즉 喝点水,喝一口水와 같은 뜻]으로 발음한다. 

 

作者:刘志刚

画家:宋海东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