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티베트 병합 72주년 맞아 '2023 중국 티베트 발전 포럼' 개최

 

'배부른 노예가 될 것인가? 배고프지만 스스로 주인으로 살 것인가?'

이제는 소설 속에서나 등장할 것 같은 질문이지만, 티베트 주민들에게는 바로 생존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다. 

중국이 티베트를 병합한 지 올해 72주년이다. 중국은 최빈 지역에 최소한의 배부른 삶을 가져다 줬다고 자부하고 있다.

하지만 티베트 민중의 생각은 중국의 생각에 크게 동의하는 모습이 아니다. 

중국은 1950년 티베트를 침공해 이듬해 5월 23일 티베트와 '시짱 평화해방 방법에 관한 협의'라는 조약을 맺고 티베트를 병합했다.

이후 1959년 티베트 독립을 요구하는 대규모 봉기를 진압하고, 1965년 이 지역을 시짱 자치구로 편입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티베트 점령은 농노 사회였던 티베트를 해방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편입 당시 당시 티베트 인구의 95%가 농노 또는 노예로 인신 자유가 없었을 뿐 아니라 생산수단도 소유하지 못하고 있었다며 공산당이 지난 70여년간 티베트 발전에 기여했다는 입장이다.

23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진핑 국가주석은 중국의 티베트 점령 72주년을 맞아 "시짱 자치구 편입 후 티베트가 절대빈곤에서 철저히 벗어나 샤오캉(小康·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풍족한 생활을 누림) 사회를 전면적으로 실행해 생기 넘치는 번영을 실현했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은 이날 베이징에서 개막한 '2023 중국 티베트 발전 포럼'에 보낸 축전에서 "인민의 행복은 가장 큰 인권이고 발전은 인민의 행복을 실현하는 가장 중요한 것"이라며 "티베트가 중국식 현대화를 추진하는 새로운 길에서 정확하고 새로운 발전이념을 관철하고 질 높은 발전을 추진하며 조화롭고 아름다운 사회주의 현대화의 새로운 티베트를 건설해 인민이 더욱 행복하고 아름다운 생활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2021년 7월 티베트 점령 70주년을 맞아 집권 후 처음으로 티베트를 공개 시찰했고, '티베트 평화 해방' 70주년 기념식에 당시 당 서열 4위 왕양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파견하기도 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도 23일자 1면에 '티베트의 더 아름다운 미래를 열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티베트 점령을 정당화했다.

인민일보는 "72년간 중국 공산당은 티베트 여러 민족 인민을 인솔해 천추에 빛나고 만세에 빛나는 역사적 공적을 창조했다"며 "중국 공산당의 영도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을 견지해야만 티베트의 번영과 진보를 실현하고 더욱 아름다운 미래를 개척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