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對중국 교역에서 꼭 알아야 하는 55개 소수민족



 

중국은 한족(漢族) 외에 55개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다.

2021년 5월 발표된 중국의 제7차 인구센서스 자료에 따르면 55개 소수민족은 중국 전체 인구 14억1177만 명 가운데 8.89%인 1억2547만 명을 기록했다. 한족은 12억8444만 명으로 91.11%를 차지했다.

1949년 신중국 수립 후 최초로 실시한 인구센서스(1953년) 당시 55개 소수민족이 중국 전체 인구 5억8260만 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06%였다.

 

마오쩌둥 시대부터 장쩌민 시대까지 60여년간 중국 정부는 문화, 교육, 세금, 사법 등 다방면에서 소수민족의 고유성을 유지하고 우대하는 정책을 유지했다. 중국 공산당이 정책 결정에 앞서 의견을 수렴하는 최고 자문회의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에도 소수민족 대표들이 필수 구성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시진핀 정부 들어와 소수민족 자치 보장보다는 '중화민족 통합'이 정책 기조로 자리 잡았다. 미국, 유럽연합 등 서방과의 위구르족, 티베트족 등 소수민족 인권 문제가 불거지고 민진당 집권 이후 대만의 독립 노선이 강화되면서 민족적 뿌리보다 중화민족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쪽으로 선회한 것이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2021년 8월 중앙민족공작회의에서 "중화민족 공동체 의식을 확고히 수립하고 국가통일과 민족 단결을 이루는 사상적 만리장성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후 소수민족 학생들에게 부여하던 대학입학시험 가산점제가 폐지됐고 소수민족 언어 교육도 점차 축소되는 추세다. 또 지난해 6월에는 중국내 소수민족 문제를 관할하는 국가민족사무위원회 당 서기에 소수민족이 아닌 한족 인사가 연속으로 선임됐다. 이전에는 조선족, 위그루족, 몽골족 등 소수민족이 당 서기 자리를 맡았다.

현재 55개 소수민족은 중국 밖에서도 주요 사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해부터 시행한 '강제노역 방지법'이 대표적이다.

이 법은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의 무슬림 소수민족에 의해 생산 및 제조된 상품을 '강제노동 산물'로 간주해 미국 내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현재 미국 관세당국은 인공지능(AI) 분석시스템을 활용, 강제노역 기반 물품을 가려내기 위해 철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 역시 중국에서 원료를 구매했다면 미국에 수출하기 전 제품의 생산·유통 등 공급망에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가 포함됐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인구 1000만 명 이상 소수민족 5개, 인구 1위 좡족

 

중국 55개 소수민족을 인구 수로 살펴보면 광시(廣西)자치구의 좡(壯)족이 1956만 명으로 1위다. 광시좡족자치구는 중국 남부에 위치하며 20위안 지폐 속에 등장하는 리장(漓江) 풍경명승구로 유명하다.

 

인구가 1000만 명 이상인 소수민족은 좡족 이외에 신장의 위구르족(维吾尔族), 닝샤(寧夏)의 후이(回)족, 구이저우(貴州)와 윈난(雲南)의 먀오(苗)족, 랴오닝(遼寧)과 허베이(河北)의 만주(滿州)족 등 5개이다.

반면 신장의 타타얼(塔塔爾)족(3544명) 등 5개 소수민족은 인구가 1만 명 이하로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조선족은 2000년 192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해 지난해 약 170만 명을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