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판호 받은 한국 모바일 게임 실적 저조

 

올해 상반기 중국 당국에서 판호(중국 내 서비스 허가)를 내줘 중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산 모바일 게임들이 기대만큼의 성과를 못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출시와 함께 공전의 히트를 했던 모습과는 사뭇 다른 것이다. 

중국 시장 소비자들의 기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결과라는 평도 나온다. 이 경우 국내 게임업체들의 근본적 경쟁력이 떨어졌다는 의미여서 우려된다. 

15일 앱 마켓 매출 집계 사이트 '앱매직'에 따르면 지난 6월 중국 시장에 출시한 스마일게이트의 '에픽세븐'은 8월 2주 차 애플 앱스토어에서 매출 순위 67위, 이달 초 넥슨이 출시한 '블루 아카이브'는 53위를 각각 기록했다.

출시 직후만 해도 각각 매출 순위 10위권 내에 포함됐던 두 게임은 순위가 점차 떨어져 50위권 바깥으로 밀려났다.

이번 결과에 대해 게임업계에서는 중국 시장 출시가 성공으로 이어지던 공식은 이미 과거의 일이라고 지적한다.

펄어비스가 지난해 4월 중국 시장에 선보인 '검은사막 모바일'은 출시 직후 앱 마켓에서 인기 순위 1위를 기록했으나 출시 3∼4개월만에 100위권 바깥으로 밀려났다.

게임업계에 따르면 중국이 한한령(限韓令, 한류 제한령) 이전에는 중국산 게임의 전반적인 수준이 낮았고, 한국 지식재산(IP)에 대한 선호도는 반대로 높았다. 하지만 한중관계가 악화하며 중국에서 한국 IP에 대한 기대감은 거의 사라졌고, 반면 중국의 자체적인 게임 개발 역량은 눈에 띄게 높아졌다는 평가다.

한편 올 하반기에는 넷마블의 'A3: 스틸얼라이브'·'일곱개의 대죄'·'제2의 나라: 크로스 월드', 데브시스터즈의 '쿠키런: 킹덤' 등이 중국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