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판호 받은 한국 모바일 게임 실적 저조

 

올해 상반기 중국 당국에서 판호(중국 내 서비스 허가)를 내줘 중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산 모바일 게임들이 기대만큼의 성과를 못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출시와 함께 공전의 히트를 했던 모습과는 사뭇 다른 것이다. 

중국 시장 소비자들의 기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결과라는 평도 나온다. 이 경우 국내 게임업체들의 근본적 경쟁력이 떨어졌다는 의미여서 우려된다. 

15일 앱 마켓 매출 집계 사이트 '앱매직'에 따르면 지난 6월 중국 시장에 출시한 스마일게이트의 '에픽세븐'은 8월 2주 차 애플 앱스토어에서 매출 순위 67위, 이달 초 넥슨이 출시한 '블루 아카이브'는 53위를 각각 기록했다.

출시 직후만 해도 각각 매출 순위 10위권 내에 포함됐던 두 게임은 순위가 점차 떨어져 50위권 바깥으로 밀려났다.

이번 결과에 대해 게임업계에서는 중국 시장 출시가 성공으로 이어지던 공식은 이미 과거의 일이라고 지적한다.

펄어비스가 지난해 4월 중국 시장에 선보인 '검은사막 모바일'은 출시 직후 앱 마켓에서 인기 순위 1위를 기록했으나 출시 3∼4개월만에 100위권 바깥으로 밀려났다.

게임업계에 따르면 중국이 한한령(限韓令, 한류 제한령) 이전에는 중국산 게임의 전반적인 수준이 낮았고, 한국 지식재산(IP)에 대한 선호도는 반대로 높았다. 하지만 한중관계가 악화하며 중국에서 한국 IP에 대한 기대감은 거의 사라졌고, 반면 중국의 자체적인 게임 개발 역량은 눈에 띄게 높아졌다는 평가다.

한편 올 하반기에는 넷마블의 'A3: 스틸얼라이브'·'일곱개의 대죄'·'제2의 나라: 크로스 월드', 데브시스터즈의 '쿠키런: 킹덤' 등이 중국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