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탄소중립 선언 이후에도 매주 석탄발전소 2곳씩 허가

 

현재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은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 정점을 찍은 뒤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이른바 '쌍탄(雙炭) 목표'를 2020년에 선언했다.

하지만 탄소 배출 감축을 강조하면서도 여전히 석탄 화력발전소 신규 건설 승인을 이어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핀란드 비정부기구인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A)와 글로벌에너지모니터(GEM)는 전날 발간한 보고서에서 중국이 올해 상반기 허가한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용량이 52GW(기가와트)로, 매주 발전소 2곳씩 허가해오던 기존 속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신규 석탄 발전소 허가 규모(106GW)는 2015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가동을 시작한 석탄발전소 용량은 17.1GW로, 전년 동기 대비 두 배에 달했다. 올해 발표된 신규 건설 프로젝트까지 포함한다면 발전 용량은 306개 발전소, 392GW까지 늘어난다.

중국은 그간 전력망의 안정을 지원하거나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다양한 재생 에너지 자원 통합을 이유로 석탄 발전소를 계속 건설해왔는데 그럴 필요가 없는 곳에 신규 발전소를 대거 허가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세계가 신규 석탄 프로젝트에 등을 돌리는 와중에 중국은 에너지 전환과 기후 약속을 위한 길을 더욱 복잡하고 비싸게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신규 석탄 발전소의 과도한 허가는 중국 정부의 그러한 정책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CREA는 중국의 1분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작년 동기 대비 4% 증가하며 역대 1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는데, 이 추세라면 중국의 올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종전 최대인 2021년을 능가하는 역대 최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실 '탄소중립'이나 '탄소 넷 제로(Net Zero)'는 유럽연합과 미국 등이 가장 강력히 주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지구 기후문제를 일으키고 악화시킨 것은 누구도 아닌 바로 이들 서구 선진국들이다. 영국이 그 선두에 있고, 그 뒤를 독일과 미국 등이 따랐다. 그런데 이제 와서 기후협약을 규제로 내세우고 있는 것이다. 

대세적 차원에서 기후협약을 지키는 게 옳지만, 동양에게는 상대적인 보상이 있어야 한다는 게 중국의 생각이다. 최소한 의무 유예 기간을 늘려달라는 게 중국의 실제 속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