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국제의료 및 보건산업 발전 포럼 개최, 고령화 사회의 산업적 수요 논의

 

'2023 중국 국제 의료 및 보건 산업 발전 포럼'이 중국 베이징 국립컨벤션센터에서 지난 4일 개최됐다.

6일 중국 관영 통신사 신화사에 따르면 올해 포럼은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건강 관리 시스템의 탐구와 실행'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고령화 사회의 산업적 수요, 정부와 기업의 협력 아래에서의 중국 의료 산업의 발전에 대해 논의했다.

당위원회 서기 겸 경제정보일보 편집장 저우 리앙(Zhou Liang)은 포럼 연설에서 "고령화 시대의 도래가 경제 및 사회 발전에 새로운 도전과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 주었다"며 "실버 경제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연령에 적합한 기술 및 제품을 개발하고, 스마트 노인 간호와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 형식을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국노인의학협회(Chinese Geriatrics Association)의 팬 리 (Fan Li) 회장은 "중국의 국가 상황에 적합한 현대 건강 관리 모델을 만들고 전인 관리, 전 과정 관리, 글로벌 경영, 만능 서비스, 일반 개업의 및 간호사 훈련, 국가 보건 교육 목표와 같은 6 가지 종합 건강 관리 개념을 수립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20세기 말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후 전체 인구 중 노인 인구의 수와 비율이 계속 증가해 왔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기준 중국의 60세 이상 인구는 2억 8000만 명에 달해 중국 전체 인구의 19.8%를 차지했다. 국가보건위원회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60세 이상 인구는 2035년 4억 명을 넘어 전체 인구의 3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중국 GDP에서 의료산업 비중은 약 7%로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25 %에 한참 못 미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