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서부 농촌 노인들의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즘 HIV는 성행위만을 통해서 감염되는 게 아니다. 감염자가 늘면서 보다 더 다양한 경로로 감염이 이뤄지고 있다. 반대로 치료 역시 과거처럼 걸리면 무조건 죽는 날만 기다리는 식이 아니다. 좋은 치료제가 나오면서 평생 관리만 잘하면 천수를 누릴 수 있는 상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29일 중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중국의 60세 이상 HIV 감염자는 2015년 1만7451명에서 2019년 3만7275명으로 두 배가량 증가했다. 60세 이상 중국인 10만명 중 HIV 감염 진단을 받은 비율은 2015년 9.0명에서 2022년 10.2명으로 상승했다. 특히 감염자는 광시좡족자치구, 광둥성, 하이난성 등 중국 남서부 지역에 집중됐으며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고, 농업에 종사하는 남성인 경우가 많았다. 2015∼2022년 중국에서 발생한 60세 이상 HIV 감염 사례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총 22만1600여건 가운데 쓰촨성이 6만3100건(28.5%)으로 가장 큰 많았고 광시좡족자치구(2만6300건, 11.9%)가 뒤를 이었다. 구이저우성, 후난성, 광둥성, 윈난성도…
2012년 중국 작가로는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모옌(莫言)의 문학적 성과를 기리는 '모옌문학예술관'이 28일 산둥성 웨이팡시 가오미시에 문을 열었다. 이날 개관식에서 모옌은 "문학관 건립은 문학과 농촌 개발을 더욱 긴밀히 통합하기 위한 것"이라며 "문학관 개관을 통해 더 많은 문학애호가들이 이곳에 찾아와 소통하고, 동시에 이 땅의 발전과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모옌문학예술관은 모옌의 육필 원고와 필기구 등 그의 창작 활동과 관련된 집기류를 비롯해 국내외에서 받은 각종 문학상 수상 증서와 트로피 등이 전시되며 노벨문학상 수상을 기리는 노벨상 홀이 운영된다. 특히 영화 '붉은 수수밭'의 촬영지이자 항일 매복 전쟁이 일어났던 쑨자커우 샤오시교가 인접해 연계 관광지로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스에 이어 코로나19 악몽에, 이제는 폐렴까지?' 중국에서 이른바 '어린이 폐렴'으로 불리는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폐렴이 급속히 확산돼 글로벌 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호흡기 질환 증가와 어린이 폐렴 집단 보고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중국에 공식 요청했다. 빠른 확산속도에 불안감이 커지자 세계보건기구(WHO)가 대응에 나선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는 중국 정부의 늦장 대응이 문제가 됐었다. 미국에서는 중국 세균 연구소의 실수로 배양중이던 코로나 균이 유출됐고, 이에 전 세계적인 코로나 악몽이 시작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물론 중국 당국은 '사실 무근의 음해'라는 입장이다. WHO는 22일(현지시간) 홈페이지 성명에서 국제보건규정(IHR) 메커니즘을 통해 중국 정부에 '추가 역학 및 임상 정보와 보고된 어린이 집단의 실험실 결과'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또 인플루엔자, SARS-CoV-2, RSV 및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을 포함한 현재까지 알려진 병원체 확환의 최근 추세와 중국 의료 시스템의 대응 등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했다 WHO는 중국과의 기존 기술 협력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임상의료진 및 과학자들과 접촉하
중국 당국이 소수 종교를 '중국화'하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신장위구르자치구 다음으로 무슬림 인구가 많은 닝샤(寧夏)회족자치구와 간쑤(甘肅)성 지역에 있는 모스크들을 폐쇄하거나 개조했다고 영국 가디언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은 신장위구르자치구의 독립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이 지역의 고유 문화와 종교를 억압하고 있다고 국제 인권 단체들은 지적해왔다. 이번 보도는 이 지역에 대한 중국 당국의 억압이 한 단계 심화됐음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가디언은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닝샤자치구와 간쑤성의 모스크 수를 크게 줄이고 있다고 전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은 오랫동안 중국의 소수 종교 및 민족을 엄격하게 통제해 왔으며, 2016년 시진핑 중국 주석이 "중국내 종교의 중국화"를 천명한 이후에는 모스크 폐쇄와 개조가 더 증가했다. HRW의 조사 결과를 보면 닝샤에 있는 모스크의 3분의 1인 1300여 개가 2020년 이후 폐쇄된 것으로 추정된다. 닝샤자치구 중웨이시의 경우 2019년에 214개의 모스크가 변경되고 58개가 통합됐으며 37개가 '불법 등록 종교 유적지'로 사용이 금지됐다.…
'제4회 창장삼각주 국제문화산업박람회(长三角国际文化产业博览会, 이하 창장문화산업박람회)'가 16일 중국 상하이 국가전시센터에서 개막했다. 창장문화산업박람회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박람회는 '새로운 사명 수행: 창장삼각주 문화산업의 힘'을 주제로 창장삼각주 지역 문화산업의 새로운 발전 성과를 소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중국 12개 성시(省市), 32개 국가 및 지역의 1500여 개 문화 관련 기관 및 업체가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의 종합 문화산업 박람회로 기록될 전망이다. 이날 개막식에서는 상하이시,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당위원회 선전부가 창장삼각주 문화산업의 통합적 발전 성과를 요약하고 '2023년 창장삼각주 문화산업 청서'를 공동으로 발표했다. 청서에는 엔터테인먼트, 관광, 패션, 자동차 등 다방면에 걸쳐 새로운 문화 소비의 수요 확대와 발전을 촉진한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특히 '자동차문화 전시장'에는 자동차 문화의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는 방침 아래 자동차 스포츠, 자동차 캠핑, 자동차 개조, 자동차 소비 등 4개 테마 전시공간이 마련됐다. 창장삼각주 지역은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경제가 가장 번영하고 국제 개방도가 가장 높으며 지역 통합도가
중국 증시 시가총액 1위 기업이자 바이주(白酒)의 대명사인 구이저우마오타이(贵州茅台)가 6년 만에 가격을 인상했다. 10월의 마지막 밤에 11월 1일부터 적용한다는 발표였다. 발표 직후 10분 뒤 가격이 인상됐다. 다음날 마오타이 주가는 어떻게 되었을까? 큰 폭으로 올랐다. 1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마오타이는 전날 증시 마감 이후 "11월 1일부터 대표 제품인 53도 비천마오타이(飞天茅台)와 오성마오타이(五星茅台)의 출고 가격을 20% 올린다"고 발표했다. 비천마오타이의 경우 이번 가격 인상으로 53% 500ml 한 병의 공장도 가격이 969위안에서 1162.8위안으로 인상됐다. 이번 마오타이의 가격 인상은 2017년 12월 28일 공장도 가격 18% 인상을 발표한 이후 6년 만의 첫 가격 인상이다. 마오타이 관계자는 "회사가 일부 제품의 공장도 가격을 조정하는 것은 정상적이고 합리적인 사업 행위"라며 "환경 및 시장 수급 변화에 따른 가격 조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가격 인상으로 판매량 등을 고려할 때 2023~2024년 회사의 실적은 두 자릿수 이상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마오타이는 지난 6월 13일 열린 올해 주주총회에서 코로나1
중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직업은? 다른 여러가지 직업이 있겠지만 중국인들이 꼽는 최고의 인기 직업은 공무원이다. 고래 이래로 중국에서 전해지는 말이 있다. 집안에 관료가 있고 사업가가 있어야 비로서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고래 이래로 중국은 관료의 나라였다. 공산 중국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중국의 중앙기관 및 직할기관 채용 시험인 궈카오(國考)의 원서 접수가 24일 마감됐다. 25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이번 국가고시 응시자 수는 지난해 대비 33만 명 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모집 인원 3만9561명, 지원자 수 283만1327명으로 71.57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경쟁률은 67.40대1였다. 올해 가장 경쟁이 치열한 직위는 국가통계국 닝샤자치구 조사업무처의 1급 주임으로 1명 모집에 3679명이 지원했다. 닝샤, 네이멍구, 시짱 등 경제가 낙후된 중서부 지역들이 일부 직위에 대해 올해부터 응시 자격 제한을 대폭 낮추면서 지원자가 급증했다. 지원자가 가장 많은 직위는 베이징에서 근무할 이공계 전공자를 모집하는 외교부 지역업무사로 5772명이 몰렸다. 이들 가운데 자격 심사를 통과해 응시 자격이 확정된 인원은 3786명으로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는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8번째 테마파크인 '주토피아' 오는 12월 20일 공식 개장한다고 24일 발표했다. 주토피아 테마파크는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두 번째 확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6년 개봉한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영화 '주토피아'를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영화 속 이야기를 현실판으로 옮겨놓은 듯 애니메이션의 주인공 캐릭터인 닉(토끼)과 주디(여우)가 경찰관이 되어 추격적을 벌이는 '주토피아: 뜨거운 추격전(Zootopia: Hot Pursuit)' 어트랙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주토피아: 뜨거운 추격전'의 주요 도로는 기본적으로 애니메이션 영화의 장면을 그대로 옮겨왔으며 영화에 나왔던 아이스캔디, 도넛 등의 먹거리도 매장에서 판매된다. 주토피아 방문객은 전 세계 디지니랜드 최초의 주토피아 테마파크에서 무궤도 주행 등 속도감과 긴박감 넘치는 추격전을 체험하게 된다. 한편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모기업인 미국 월트디즈니컴퍼니는 지난 9월 19일 " 향후 10년간 테마파크와 크루즈 등 사업에 약 80조 원을 지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최근 미디어 환경 변화로 TV·방송 네트워크 사업의 매출이 감소하는 가운데, 체험형 엔터테인먼트 사업
중국과 로마는 동서양의 고대 문명을 대표한다. 서한시대 실크로드의 개통은 동서양을 잇는 다리가 되었으며 이는 중국과 로마가 소통하는 첫걸음이기도 했다. 중국 장쑤성 쑤저우오문화박물관(苏州吴文化博物馆)에서 23일부터 내년 2월 29일까지 '예술의 제국 - 나폴리 국립고고학박물관 소장 고대 로마 문화 유물 특별전시회'가 개최된다. 이번 전시회에는 이탈리아 헤르쿨라네움과 폼페이에서 발굴된 컬렉션을 비롯해 로마시대 조각상, 은제품, 유리제품, 프레스코화, 모자이크 등 98점이 선보인다. 제1 전시구역 '제국의 예술, 예술의 제국'에서는 고대 로마가 지중해를 중심으로 제국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미술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보여준다. 전시구역 2 '현실적인 초상화와 이상적인 초상화'에서는 고대 로마 초상화와 미술의 발전 과정을 소개한다. 전시구역 3 '색채의 길'에서는 흰색과 우아한 대리석 조각상, 정교하고 화려한 모자이크 벽화, 윤기 나는 유리제품 등의 전시물을 통해 고대 로마의 다채로운 삶을 엿볼 수 있다. 전시구역 4 '예술과 기술'에서는 로마시대 도로, 교량, 수도 등 당시 세계에서 가장 고도로 발전된 인프라 건설 기술에 스며든 예술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고대…
'제8회 루자쭈이금융성 국제커피문화축제(陆家嘴金融城国际咖啡文化节)'가 18일부터 22일까지 중국 상하이 푸동 루자쭈이 금융무역구의 중앙녹지와 상하이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19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올해 커피 축제에 참가한 카페 수는 약 270개로 역대 최대 규모다. 18일 개막식에선 호주 빅토리아주관광청과 푸둥신구 문화체육관광국이 공동으로 '호주 커피 테마의 달'을 발족시켰다. 호주 시드니의 머키(Merki) 커피와 스티치(Stitch) 커피, 브리즈번의 토이박스(Toybox) 커피 등이 참가해 호주 커피 문화를 소개했다. 이번 커피 축제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중국 커피 로밍 투어'를 글로벌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했다는 점이다. 싱가포르의 홈그라운드 커피 로스터, 태국 치앙마이의 ROAST8RY, 일본 도쿄의 GLITCH TOKYO, 한국 서울의 FRITZ COMPANY 등 독특한 부티크 카페를 축제 현장에서 만날 수 있다. 또 상하이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1회 루자쭈이 국제 커피 포럼'에는 전 세계 커피업계 주요 인사들이 참가해 글로벌 커피산업에 대한 심층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