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영의 지혜 - 해대어(海,大漁)의 진리

 

세상일은 선후가 있고, 본말이 있다. 모든 게 순서가 있어 그 순서를 다르게 하면 같은 구성이라도 다른 결과가 나온다.

선은 선이요, 후는 후다. 본은 본이요, 말은 말이라는 의미다.

본말이 뒤집히면 ‘바늘 허리에 실 매어 쓰는’ 꼴이 된다. 겉으로는 그럴듯해 보여도 옷을

꿰맬 수 없듯 어떤 일이든 성과가 나오지 않는다.

스스로 총명하다는 이들이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이런 실수다.

 

전국책 제책편에는 ‘해대어’라는 고사가 나온다.

제나라 왕에 의해 설(薛) 땅의 제후가 된 전영(田嬰)이 성곽을 높이 쌓아 지역 방비도 강화하고 자신의 위상도 높이려 했다.

곧 많은 지역민들이 반대를 했다. 전영의 계획으로 백성들의 고통이 가중될 것을 우려한 것이다. 하지만 제후 전영은 이 같은 충언을 듣지 않았다.

부하에게 “객들을 더 이상 들여보내지 말라”고 명했다.

 

그러자 제나라의 한 사람이 찾아왔다. “내 딱 세 글자로 한마디만 할 터이니 제후를 만나도록 해주시오.”

그렇게 전영을 만난 이가 자신의 약속처럼 소리를 쳤다.

"해海, 대어大魚!"

그러고는 다시 나가 버렸다. 놀란 전영이 소리쳤다. "그런데 이게 무슨 말인가? 이것보다 더 할 말이 있을 텐데."

그때서야 객이 말했다.

"대어란 무엇입니까. 바다에서 가장 강한 놈입니다. 얼마나 큰지 그물로도 잡을 수 없고 낚시로도 끌어낼 수 없습니다.

그러나 제멋대로 놀지만 바닷물을 떠나 강가에 놓이면 그야말로 모든 것의 먹잇감이 됩니다. 땅강아지나 개미조차도 마음대로 그를 뜯어먹을 수 있습니다.

당신과 제나라의 관계가 바다와 큰 물고기의 관계와 같습니다. 어차피 제나라 속에 있어야 힘을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작은 설 땅에서 성을 높이 세운다니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 제나라가 망하면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