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체리자동차그룹 11월 판매량 21만 2076대, 111% 성장

 

'111% 증가'

중국 한 자동차 기업의 올 11월 전년 동기 대비 판매 증가량이다. 대수로는 '21만 2076대' 판매를 기록했다.

중국 자동차 시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중국은 아직 나라 전체의 자동차 수가 가계당 1대 꼴이 안된다. 도심은 이미 가구당 1대 꼴을 갖추고 있지만, 대도시 이외 지역으로 가면 아직 자동차 판매 여지가 많다는 의미다.

도심은 이미 세컨 차에 대한 수요가 생기면서 고급화하고 있다. 중국은 지역간 거리가 멀어 자동차가 필수인 나라다. 지역 수요도 커지고 있지만, 도심의 고급화 수요도 커지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이 같은 중국 자동차 시장을 중국 브랜드들이 석권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아직 고급 차량은 유럽 브랜드들이 석권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실적이 이 같은 상황을 잘 보여준다. 실적은 중국 자동차 업체인 체리그룹의 차량 판매 실적이다. 

중국의 자동차 기업 체리그룹이 월간 판매량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1월 체리그룹의 자동차 판매량은 21만 2076대로 전년 동월 대비 111% 증가했다. 올해 들어 두 번째로 20만 대를 돌파하여 월간 판매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이다. 체리그룹은 올해 11월까지 누적 판매량 166만 5626대를 달성하여 전년 동기 대비 47.8% 성장했다.

체리그룹의 주력 승용차 브랜드인 체리, 싱투(星途), 제투의 11월 판매량은 모두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이 중 체리 브랜드는 11월 판매량 14만 7916대를 달성해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했고, 1~11월 판매량은 119만 7650만 대를 달성해 41.9% 증가했다.

싱투 브랜드의 11월 판매량은 1만 5296대로 동기 대비 173.3% 증가했으며, 1~11월 판매량은 11만 1352대로 동기 대비 129.5% 증가했다.

제투 브랜드의 11월 판매량은 4만 1027대로 139.7% 증가했으며 1~11월 판매량은 27만 3109대로 동기 대비 72.8% 증가했다.

특히 체리그룹은 11월 한 달간 8개 모델의 월 판매량이 1만 대를 넘어섰으며, 그 중 2개의 모델은 월 2만 대 이상 판매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